![](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4970327.1.jpg)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11일(현지시간)부터 14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1’에서 홀로그램 구현 기술 등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한다. ETRI는 정부 출연연구소 가운데 유일하게 CES에 참가한다. ETRI가 선보이는 기술은 인공지능(AI) 반도체,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지능형 음장보안 센서 세 가지다.
ETRI가 개발한 AI 반도체(일명 AB9)는 40테라플롭스(1초에 40조 번 연산) 연산 능력을 갖췄다. 전력 소모량은 15W로 낮은 편이다. ETRI 관계자는 “기존 상용제품인 N사의 그래픽처리장치(GPU)보다 전력당 연산능력은 25배 높고, 전력 소모량은 20분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칩 한 개 가격이 수십만원대로 GPU 칩 한 개 가격(800만~1000만원)보다 저렴하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는 10여 년간 연구 끝에 AI 반도체 칩 개발에 성공했다. 칩 내부는 메모리, 행렬 연산기, 데이터이동기, 명령어 디코더 등으로 구성됐다. 칩 하나엔 10억여 개의 트랜지스터, 컴퓨터의 실수(實數) 표기 방법인 부동소수점 연산기 3만2000여 개 등이 들어가 있다. ETRI는 AI 알고리즘의 기본 단위인 행렬 연산 최적화를 위해 칩과 칩 사이 구동을 매개하는 소프트웨어(SW)인 컴파일러 기술도 자체 개발했다. ETRI 관계자는 “상용 NPU 제품 중 반도체 칩과 컴파일러가 통합된 제품이 아직 없다”며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기술”이라고 말했다.
홀로그램은 빛의 회절과 간섭 원리를 이용해 공간에 영상을 맺히게 하는 기술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지는 게 특징이다. 패널의 일종인 공간광변조기(SLM)에 홀로그램 데이터를 입력한 뒤 빛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수 있다.
패널의 픽셀 크기가 작을수록 홀로그램을 볼 수 있는 범위(시야각)가 넓어진다. ETRI 연구진은 기존에 10도 이내 시야각이 나오는 3마이크로미터(㎛) 픽셀 패널을 1㎛로 줄여 시야각을 세 배(30도)로 늘렸다. 이 기술로 1.3인치 크기 패널에 5100만여 개 픽셀을 넣어 홀로그램을 구현했다.
지능형 음장(음파의 공간 분포 패턴) 보안 센서 기술은 소리를 이용해 무단 침입이나 화재, 독거노인 낙상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사람이 움직이거나 온도가 변하면 음장 역시 달라지는데, 미세한 소리를 흘려보낸 뒤 바뀌는 음파 정보를 수신해 상황을 감지한다. 영상, 적외선 센서에 비해 감지 사각지대가 없고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