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4994644.1.jpg)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 원전에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가 누출됐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과 국무총리 산하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월성 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된 적 없다"고 결론내린 데다, '삼중수소가 인공 방사성물질'이라는 주장도 과학적 사실과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월성 1호기 경제성 조작에 대한 검찰 수사를 무마하기 위해 지나친 무리수를 뒀다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에서 "20~30년 동안 가동해온 노후 원전의 총체적 문제가 드러난 사건이며 수명을 다한 원전은 아무리 고친다 한들 새것이 될 수 없다"고 했다. 또 "인접지역 주민들의 몸속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되고 있으며 삼중수소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 방사성물질"이라며 "한수원의 대책은 땜질식에 불과하고 원전안전을 책임지는 원안위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민주당은 정부가 월성 1호기를 폐쇄한 건 해당 원전이 위험하기 때문이며 ‘경제성 조작’을 문제 삼은 감사원이나 검찰은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원안위와 한수원은 "월성 원전에서 삼중수소가 누출된 적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검출된 삼중수소는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기체상태로 배출되는 삼중수소가 빗물 등 강수에 씻겨 다시 바닥에 가라앉은 것으로, 원전 외부로 누출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월성 원전 인근 주민의 몸 속에서 검출된 삼중수소도 바나나 서너개 정도를 더 먹은 수준"이라고 했다.
"수명을 다한 원전은 아무리 고쳐도 새것이 될 수 없다"는 주장도 선진국 추세와 다르다는 지적이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2019년 원전 수명을 8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방침을 천명했다. 한국 정부가 40년도 안된 월성 1호기를 폐쇄한 것과 대조적이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반(反)과학적 주장은 이제 익숙하다"며 "양이원영 의원은 환경단체에서 활동하던 2017년 핵융합은 태양에서나 일어나는 일로 지구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예산을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