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030796.1.jpg)
노삼혁 UNIST(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장(사진)은 1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는 AI를 본격적으로 활용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시기”라며 “일선 실무자 교육을 통해 기업들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원장은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지난 13일 컴퓨터 분야 최고 학회인 국제컴퓨터학회(ACM)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전체 회원 가운데 가장 높은 성취를 보여준 상위 1% 연구자에게만 돌아가는 자리다. 노 원장은 이날 발표된 신규 석학회원 95명 중 유일한 국내 대학 연구자다. 현재까지 ACM 석학회원에 선정된 국내 대학 연구자는 노 원장을 포함해 네 명뿐이다.
노 원장은 약 20년 전부터 플래시메모리 소프트웨어 개발에 앞장섰다. 연구 성과는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발판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노 원장은 삼성전자의 피처폰에 탑재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도 기여했다. 최근에는 인텔 등 글로벌 기업이 공들이는 분야인 비휘발성메모리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AI 반도체 성능을 높이기 위해선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도 매우 중요하다”며 “저장장치 기술이 향후 AI 기술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학생들을 위한 AI 교육 지향점도 새롭게 가다듬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프로그래밍을 쉽게 느끼도록 교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노 원장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한 뒤 어렵게 생각해 관련 분야 진학을 포기하는 학생이 많다”며 “교육 과정에서 무리하게 AI를 가르치는 것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컴퓨터 기초를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글로벌 산업의 화두로 떠오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몇 년의 유행으로 그치지 않을 변혁”이라며 “거대한 산업의 전환이 밀려오고 있는 만큼 관련 분야에서 창출되는 기회가 무궁무진하게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노 원장은 서울대 전자계산기공학과(현 컴퓨터공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대에서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조지워싱턴대 초빙교수와 홍익대 교수를 거쳤다. 2015년 UNIST에 부임한 뒤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학부장을 지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