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각 생명보험사가 대부분 두 차례 예정이율을 인하해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이 최저 1%대까지 추락했다. 예정이율이란 보험사가 종신보험 등 장기 보험 적립금에 적용하는 이자율을 뜻한다. 예정이율이 떨어지면 같은 보험금을 받기 위해 내야 하는 보험료는 자연히 오르게 된다. 예정이율이 0.25% 내리면 보험료는 7∼13%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명보험 대형 3사는 작년에 저금리 기조에 따른 역마진을 이유로 두 차례가량 예정이율을 내렸다. 삼성생명은 4월에 2.5%에서 2.25%로, 다시 11∼12월에 2.0%로 끌어내렸다. 한화생명도 4월에 2.5%에서 2.25%로, 7월에 2.0%로 다시 하향 조정했다. 교보생명은 4월에 2.5%에서 2.25%로 내렸고, 10월에 2개 종신보험에 대해 0.25%를 추가로 하향 조정했다.
신한생명은 작년에 두 차례 내려 현재 예정이율이 2.25% 수준이다. 오렌지라이프는 작년 4월에 정기 보험의 예정이율을 2.35%로 내린 데 이어 이달 1일 자로 2.10%로 다시 낮췄다. 오렌지의 종신보험 예정이율은 작년 4월에 2.25%로, 다시 11월에는 1.95%까지 떨어졌다. ABL생명도 새해에 예정이율을 2.25%로 하향했다.
지난해 예정이율을 내리지 않은 보험사는 푸르덴셜생명으로, 종신보험 기준 2.4%를 유지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생보사의 예정이율 변경은 1년에 평균 1차례 미만 빈도였으나 지난해에는 저금리 기조를 이유로 이례적으로 평균 2차례 하향 조정이 이뤄진 것이다.
보험사는 수십 년간 장기적으로 보험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해야 하므로 채권 투자를 많이 한다.
그러나 지난해 두 번째 조정이 몰린 시기를 앞두고 시장 금리는 9월부터 상승세로 반전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작년 7월 평균 0.83%에서 지난달 평균 0.97%로, 국고채 10년물은 같은 기간 1.36%에서 1.68%로 각각 상승했다. 이러한 금리 동향에도 생보사들은 예정이율 인상, 즉 보험료 인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
생보사 한 관계자는 "시장 금리가 올랐다고는 해도 국채 10년물이 1.6∼1.7% 수준으로, 과거 고금리 시절에 판매한 장기 보험의 역마진은 매우 심각하다"며 "4∼5개월 시장금리가 소폭 오르는 걸로 금세 보험료를 내리기에는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안혜원 기자 an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