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최근 삼성전자에 ‘사우스브리지’로 불리는 반도체 칩셋 생산을 맡겼다. 사우스브리지는 PC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반도체로 데이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파운드리 공장에서 올 하반기부터 인텔의 사우스브리지 칩셋을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 규모는 웨이퍼 반입 기준 월 1만5000장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생산능력의 3% 수준이다.
오스틴 공장은 14㎚(나노미터, 1㎚=10억분의 1m) 라인을 갖추고 있다. 최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CPU 등을 제조하는 5㎚나 7㎚ 공정에 비해선 ‘구식’이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인텔과 삼성전자의 협력은 칩셋 생산으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며 “삼성전자가 오스틴 공장을 증설하면 5㎚ 첨단 공정에서도 고부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인텔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외주 생산 물량은 대만 TSMC가 가져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TSMC는 올 하반기부터 인텔의 GPU를 4㎚ 공정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인텔 GPU 수주에 사실상 실패한 것”이라며 “다만 인텔과의 파운드리 계약을 통해 차후 핵심 칩을 수주할 기반을 마련한 데 의의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