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167610.1.jpg)
은행권에서는 국민·농협·신한·우리·SC제일은행 등 5곳이 본허가를 획득했다. 카드·캐피털업계에서는 국민·우리·신한·현대·비씨카드와 현대캐피탈까지 6곳이 선정됐다.
금융투자, 상호금융, 저축은행업계에선 각각 1곳이 선정돼 미래에셋대우, 농협중앙회, 웰컴저축은행이 사업권을 받았다. 핀테크업계에서는 14곳이 선정됐다. 네이버파이낸셜,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뱅크샐러드, NHN페이코, SK플래닛 등 유명 기업과 함께 민앤지, 보맵, 쿠콘, 팀윙크, 핀다, 핀테크, 한국금융솔루션, 한국신용데이터, 해빗팩토리 등 스타트업도 이름을 올렸다.
이들 28개 업체는 오는 8월까지 표준 API 구축 등의 준비작업을 거쳐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금융위는 “3월에는 유사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은 신규 기업을 대상으로 예비허가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마이데이터를 계기로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가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금융사로부터 확정된 대출 한도와 금리를 전달받는 ‘대출 협상’ 기능이나 흩어져 있는 여러 계좌의 정보를 통합해 ‘1주일 후 잔액 예측’ 등의 서비스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 소비 때마다 생기는 잔돈을 활용한 ‘자투리 투자’와 소비 줄이기, 내집 마련, 미래 준비 등의 목표 달성을 돕는 틈새상품 출시도 이어질 전망이다. 사회초년생부터 은퇴자까지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생애주기별 금융 서비스’도 강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