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164618.1.jpg)
전라남도는 올해 처음 열린 노·사·민·정협의회에서 한국전력 등 37개 참여 기관과 함께 전남형 상생일자리 모델을 확립하고, 4개 분야 30개 과제에 공동 참여하기로 했다고 27일 발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167622.1.jpg)
전라남도는 2030년까지 민간자본 46조원을 포함해 48조원을 들여 생태계 구축과 사업 모델을 확립하기로 했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사업 모델이 구체화되면 어민 등 주민들이 협동조합 형태로 투자하게 된다”며 “수익 분배 방안 등 다양한 이익 공유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5166586.1.jpg)
조합원들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거리에 따라 수익금을 받는다. 4월부터 태양광발전소 운전에 들어가는 자라도 안좌도 주민 3230명은 연간 56만~160만원을, 7월엔 지도읍 주민 3700명이 20만~60만원을 수령한다. 10월에는 사옥도 주민 502명이 80만~240만원을 받게 된다. 4개 섬 주민에게 지급되는 올해 태양광발전 이익 공유금은 총 50억9000만원이다.
신안군 관계자는 “내년에 추가로 안좌면에 200㎿, 임자면과 증도면에 각각 100㎿의 태양광발전소를 건립한다”며 “2023년 비금면에 300㎿를 추가로 조성하면 주민의 발전 수익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라남도와 신안군은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가 2030년 완공되면 연간 3000억원이 주민들에게 돌아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인당 연 최고 600만원의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셈이다.
무안·신안=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