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게임스톱 공매도 전쟁의 여파가 증시 전반으로 확산됐다. 공매도 포지션으로 막대한 손실을 본 헤지펀드가 손실을 메우기 위해 보유한 다른 주식을 강제로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렸기 때문이다. 미국 중앙은행(Fed)도 시장의 불안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05%, S&P500지수는 2.5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61% 하락했다. 한국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먼저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중국의 유동성 회수 가능성이다. 중국은 지난 26일 이날로 만기가 돌아온 800억위안 규모의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가운데 20억위안어치만 매입했다.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 당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고려해 예상보다 빨리 유동성 회수에 나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미국에서도 이르면 올해 말 자산 매입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27일(현지시간) “테이퍼링은 시기상조”라고 일축하며 월 1200억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 규모도 유지하겠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더 강력한 추가 부양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실망감에 조정 폭을 확대했다. 글로벌 증시에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흔들린 배경이다.
안정환 BNK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한국 증시를 구성하는 산업군이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수가 지나치게 빠르게 급등한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동성 장세가 더 이어질 가능성도 있지만, ‘유동성 회수’에 대한 경계심을 유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단기 조정 단계라면 투자자는 ‘위험 관리’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한지영 연구원은 “본격적인 주식 매각보다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릴 필요가 있는 시기라고 판단한다”고 했다. KB증권은 소외당한 업종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추천했다. 소프트웨어, 화장품, 비철, 기계, 음식료 업종 등이 대표적이다.
고재연/박의명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