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는 지난 29일 워싱턴 지방법원에 미국 국방부와 재무부 등을 상대로 제재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임기 막바지였던 지난 14일 미 국방부는 중국군과의 연관성을 이유로 샤오미 등 중국 기업 아홉 곳을 제재했다. 미국 투자자들은 국방부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의 주식을 살 수 없으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오는 11월 11일까지 처분해야 한다. 홍콩증시에서 샤오미 주가는 제재 이후 지난 29일까지 10% 넘게 떨어졌다.
샤오미는 소장에서 해당 제재가 “불법이자 위헌”이라며 “자사는 중국군의 통제를 받지도 않는다”고 주장했다. 공동창업자인 린빈과 레이쥔이 샤오미 의결권의 75%를 갖고 있으며, 중국군과 관련된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통제를 받지 않고 군 소유도 아니라는 설명이다. 또 샤오미에 투자한 기관 열 곳 중 세 곳이 블랙록, 스테이트스트리트, 뱅가드 등 미국 자산운용사라고 강조했다.
샤오미는 스마트폰과 TV, 각종 생활가전에서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스마트폰에선 미국 제재를 먼저 받은 화웨이의 빈자리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미 정부는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이 만든 기기나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고객 정보가 중국군과 공산당에 흘러갈 수 있다는 점을 주된 제재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이날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중국과 맺은 1단계 무역합의를 비롯해 전임 트럼프 행정부가 시행한 모든 조치를 다시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과거 행정부가 시행한 모든 것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며 “미·중 무역합의도 광범위하게 검토 중인 사안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사키 대변인은 미·중 관계와 관련해 “우리는 유리한 입장에서 그 관계에 접근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중국과 어떻게 협력할지에 대해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조율하고 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는 경제뿐만 아니라 전략적 문제와 안보까지 다양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길을 결정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