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양과 KIST, 연료전지 기술과 소재 공동 연구개발 본격화

입력 2021-02-01 17:08   수정 2021-02-01 17:10


금양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1일 KIST 본원에서 연료전지 공동개발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금양 제공.

신소재 전문기업인 금양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공동으로 연료전지 분야에 개발과 생산에 본격 나섰다.

금양과 KIST는 1일 서울 성북구 KIST 본원에서 수소연료전지 연구협력을 위한 전략적 협력협정(MOU)을 체결했다. 두 곳은 연료전지 사업에 필요한 혁신기술가 혁신소재 개발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하고 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협정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정을 통해 KIST의 청정신기술연구소와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는 연료전지 분야에서 과제를 발굴하고 기획해 전략적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기존에 KIST에서 금양으로 이전된 기술의 사업을 공고히 하고 신규기술의 이전과 사업화를 위해 협력하는 모범적인 모델을 만들 방침이다.

지난해 9월 KIST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는 초미세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는 촉매기술을 금양에 이전했다. 이 기술은 기존 나노입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합성기술이다.몇 석가지 화학물질의 단순 섞음(교반)만으로 2nm(나도미터)의 고른 크기를 가지는 초미세 나노입자의 초미세합금 나노입자를 간단히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현재 이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지난해 10월 금양은 KIST 홍릉벤처밸리 내에 자회사 금양이노베이션(주)를 설립했다. KIST의 적극적인 지원과 연구팀과의 신속한 소통을 통해 상용화 기술을 빠르게 개발중이라고 금양은 밝혔다. KIST와 수소경제에서 모빌리티 산업분야의 핵심소재가 될 연료전지 촉매, 촉매를 기반으로 핵심부품인 막전극 접합체(MEA)와 스택 개발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금양은 오는 5월 부산 공장에 새로운 수소 연료전지와 관련한 MEA 생산공장을 완공해 제품개발에 들어갈 계획이다. 금양은 앞으로 소재와 부품기술을 적용할 시스템 중의 하나로 수소연료전지선박에 들어가는 제품도 개발할 방침이다.

KIST 청정기술연구소는 최고 기술의 연료전지 연구단이 있고, 이 연구단이 혁신기술 및 혁신소재를 개발하고, 연료전지에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과 역량을 보유하고, 미래에 필요한 기술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기업의 연료전지와 관련한 소재와 MEA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금양 관계자는 “고무와 플라스틱 등에 첨가제를 넣어 발포제를 만드는 기술은 수소연료전지에 나노기술을 적용해 모든 입자를 고르게 만드는 기술로 적용할 수 있다”며 “수소 관련 자동차와 선박, 반도체 분야 등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소연료전지 분야는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구동되는 드론과 도심형 항공기 등의 모빌리티 시스템보다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내연기관을 대체할 친환경의 수소연료전지 승용차와 건설기계, 열차, 수소전기트램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