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창이던 지난해 4월 8일 대한항공은 전 직원을 대상으로 6개월간 순환휴업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회사 분위기는 침통했다. 당시 코로나19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대한항공이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제기됐다.
이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는 그러나 ‘절반’만 현실이 됐다. 코로나19는 1년이 흐른 지금도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국제선 여객노선이 올스톱된 상황에서도 지난해 238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비결은 화물운송 덕분이었다. 지난해 화물 매출은 4조2507억원으로, 전년(2조5575억원) 대비 66.2% 급증했다. 글로벌 항공사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화물기 운항을 대폭 줄였지만 대한항공은 오히려 화물수송에 주력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북미~홍콩 노선의 항공 화물운임(TAC항공운임지수 기준)은 ㎏당 7.5달러로, 코로나19 직전인 지난 1월(3.14달러)과 비교해 두 배 넘게 올랐다. 국제선 운항 편수가 급감하자 공급 부족으로 화물운임이 급등한 것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가 증가했고, 일부 해운수송 수요가 항공수송으로 몰리면서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보유한 23대의 대형 화물기를 풀가동했다. 여객기 두 대도 화물기로 개조해 화물을 실어 날랐다. 대한항공이 지난해 유휴여객기를 활용해 항공화물을 운송한 횟수만 4500편이 넘는다.
글로벌 주요 항공사 중 영업 흑자를 낸 곳은 대한항공뿐이다. 미국의 델타와 아메리칸에어라인, 프랑스·네덜란드 합작사인 에어프랑스·KLM그룹은 정부로부터 수십조원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지만 지난해 각각 최소 10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올해도 순환휴업을 최소한 상반기까지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윌셔 그랜드센터와 서울 송현동 부지 매각을 통해 유동성도 확보할 방침이다. 올 2분기부터는 코로나19 백신 수송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 인수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은 다음달 예정된 3조3000억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해부터 고통 분담에 동참하고 있다. 임원들은 지난해 4월부터 급여의 60%를 자진 반납하고 있다. 직원들도 돌아가면서 한 달 기준 15일 무급휴직을 하고 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