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387229.1.jpg)
장 초반 이후 외국인이 선물 매도를 확대하자 기관투자가의 프로그램 매물이 잇따라 나왔다. 이날 기관 중 증권사(금융투자) 순매도는 8498억원어치에 달했다. 외국인이 선물을 내다팔면 기관의 프로그램은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저평가됐다고 판단하고 고평가된 현물을 자동으로 매도한다.
외국인 수급은 미국 국채금리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전날 미국 증시에서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연 1.3%를 기록하며 12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2월 뉴욕 제조업지수와 독일의 경기기대지수가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오르고 백신 접종이 가속화하면서 경기 정상화 기대가 커진 영향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폭이 확대된 것이 차익 실현 욕구를 자극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외국인 눈치 보기 장세가 계속되면 코스피지수가 3000~3200 사이에서 횡보하는 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형주도 하락세였다. 시총 상위 20개 종목 중 삼성SDI(0.25%), LG전자(2.03%), SK이노베이션(4.39%), SK텔레콤(0.80%)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 마감했다. 삼성전자(-2%), SK하이닉스(-1.89%), LG화학(-2.15%), 현대차(-1.62%) 등이 약 2% 떨어졌다.
코스닥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0.21% 오른 979.77에 장을 마쳤다. 개인과 외국인은 코스닥시장에서 각각 535억원, 671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656억원어치를 내던졌다.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 기대에 물류, 포장, 결제 관련주는 강세를 이어갔다. 쿠팡 내 전자결제대행업체(PG) 점유율 1위 기업 다날, 쿠팡에 식품을 납품하는 서울식품, 물류 제휴업체 KCTC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쿠팡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KTH도 12% 급등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