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 지난해 초 교통사고로 본인의 벤츠 E클래스 수리를 공식 서비스 센터에 맡긴 차주 조모씨(30)는 세 달을 기다리다 결국 사설업체에서 해결해야 했다. 공식 서비스 센터의 수리 예약 날짜가 계속 미뤄진 결과다. 부품 수급 문제로 약 2~3주 정도 기다려야 한다고 통보받은 후 차일피일 수리가 지연됐다고 조 씨는 전했다.바야흐로 수입차 30만대 시대다. 국내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지만 사후 서비스(AS) 수준은 아직 열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품 가격은 여전히 국산차보다 비싸고, 서비스 센터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는 "같은 말만 되풀이하는 서비스 센터의 대답에 지쳐 결국 사설 업체로 향했다"며 당시 불쾌했던 심정을 토로했다.
18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수입차 시장은 일본차 불매 운동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2019년을 제외하고는 매해 커졌다. 지난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3% 늘어난 27만4859대를 달성했다. 개별소비세 인하와 신차 효과 등이 맞물린 결과였다.
점유율도 매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누적 등록 자동차 수는 2430만대, 이중 수입차는 268만대로 11%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 밖에도 2017년 8.4%, 2018년 9.4%, 2019년 10.2%로 수입차 점유율은 매해 눈에 띄는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수입차 서비스 센터 수는 시장 성장세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서비스 센터 수를 갖춘 벤츠가 대표적이다.
2017년 6만8861대 판매고를 올린 벤츠는 그해 서비스 센터를 7곳 늘렸다. 그러나 2018년 7만798대, 2019년 7만8133대 판매량은 늘었지만 서비스 센터 증가폭은 각각 6곳, 4곳에 그쳤다.
지난해에는 증가폭이 더 줄었다. 판매량은 작년 7만6879대로 꾸준히 7만대를 유지했지만 서비스 센터는 단 3곳 늘었다. 단순 셈법으로 2017년에는 1만대당 1개 꼴로 서비스 센터가 늘었지만 지난해에는 2만5000대당 1개 증가로 그쳤다는 계산이 나온다.
절대적인 수치로 비교해도 국내 완성차 업체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 수준이다. 한국수입차협회에 등록된 승용 부문 수입차 브랜드(쉐보레 제외) 20곳의 서비스 센터는 545개 정도(2020년 9월 기준)다. 그간 집계치를 반영해도 550개 안팎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385개, 811개 각각의 서비스 센터를 갖춘 현대차와 기아는 물론 426곳의 서비스 센터를 확보한 한국GM과 비교하면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이중 벤츠가 총 71곳으로 국내 수입차 업체들 중 가장 많은 서비스 센터를 갖추고 있다. 이어 BMW 63곳, 아우디 40곳 순이다. 폭스바겐과 지프는 각각 35곳, 18곳의 서비스 센터를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 모델 3만 1만대 넘게 판매한 테슬라의 서비스 센터는 12곳에 불과하다.
심지어 지방에는 주요 거점 도시를 제외하고는 서비스 센터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장 문제가 생기면 원치 않게 사설 수리 센터나 일반 정비소로 향하는 경우도 지방에서는 종종 일어날 수밖에 없다.
BMW 520 차주 김모씨(28)는 "최근 남자친구와 남해 여행을 하던 중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시속 70km 이상의 속력을 내지 못하는 일을 겪었다"며 "남해 인근 BMW 공식 수리센터를 알아봤지만 발견할 수 없어 광양 인근 일반 정비소로 향했다"고 털어놨다. 무상 수리 기간도 남아 있었지만 김씨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김씨는 수리비 폭탄을 우려했지만 다행히 퓨즈 단순 교체로 수리비가 5만원밖에 나오지 않았다며 그나마 안도했다.
이와 관련 수입차 업계는 서비스 센터 확충에 올해 집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벤츠는 올해 전기차 브랜드 'EQ' 전용 충전시설이 갖춰진 전용 서비스 센터를 전국 단위로 넓힐 계획이다. 또 고성능 브랜드 AMG를 체험할 수 있는 'AMG 브랜드 센터'를 국내 최초로 강남 신사동에 구축한다.
볼보는 김해, 구리, 서대구, 서울 강동, 강남 율현 등 5개 지역에 서비스 센터를 올해 열 예정이며, 일산 서비스 센터를 확장 이전해 총 33개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최근 시장 성장세에 비춰 더 분발해야 한다는 업계의 지적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연 한자리 수의 (AS센터) 증가만으로는 소비자 수요와의 간극을 메우기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