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01.24415116.1.jpg)
경남 창원 의창구의 대단지 아파트 중동 ‘유니시티1단지’는 최근 8억1000만원에 거래됐다. 호가는 8억원 아래로 떨어졌다. 한달 전 기록했던 최고점(9억2000만원) 대비 1억원 넘게 하락했다. 정부가 지난해 12·17대책을 통해 의창구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한 후 이 지역에선 매물이 쌓이며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이 단지를 주로 중개하는 Y공인 김모 대표는 “지난해 12월부터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며 “고점에 집을 산 집주인들만 불안에 떨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대책으로 지방에선 몇 달 만에 집값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지역이 나오고 있다. 경남 창원과 충북 청주 등 지방 도시들부터 부산, 대구, 광주 등 광역시 지역까지 정부가 규제 지역에 포함한 곳들의 거래는 뚝 끊겼다. 지방 부동산업계는 우려했던 '거래절벽' 상황이 현실화됐다고 아우성치는 중이다.
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된 창원 성산구에서는 반림동 노블파크 전용 84㎡가 지정 효력이 시작된 후 5억5000만~5억9800만원에 매매 계약서를 썼다. 같은 면적 종전 최고가(6억7000만원)보다 7200~1억2000만원 빠진 금액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 창원 의창·성산구의 아파트값은 모두 0.04% 하락했다. 전주(-0.01%)보다 하락폭을 키웠다. 이들 지역 아파트 값은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도 크게 줄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의창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646건이었지만, 12월에는 535건으로 감소했다. 성산구의 경우 1552건에서 799건으로 대폭 줄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0114848.1.jpg)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곳들의 상황은 대체로 비슷한 분위기다. 대구 달서구 상인동에 우치한 송현주공3단지 전용 66㎡는 지난해 12월 7억원에 매매 계약서를 쓰면서 이 면적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조정대상지역 지정 발표 이후인 최근 매물의 호가는 6억원으로 수준으로 하락한 상황이다. 지난달에는 6억4500만원에 실거래 계약이 나와 5000만원 넘게 값이 떨어졌다.
광주 광산구에선 수완동 광주수완6차대방노블랜드 전용 84㎡가 지난해 말 6억7000만원(6층)에 매매돼 종전 최고가인 7억4500만원보다 가격이 하락했다. 광산구 T공인 관계자는 “매도인들이 호가 낮추는 것을 망설이지만 거래가 뜸해 매수자들이 없으니 급매가 나오면서 값이 내려가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ZA.25433057.1.jpg)
전문가들은 '뒷북'식 토지거래허가제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개발 호재를 예상해 과열 거래가 이뤄지고 난 뒤 실제 개발지역으로 묶이면 규제가 내려지기 때문이다.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려면 해당 지역의 직전 3개월 집값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의 1.3배를 넘어야 한다. 최소 3개월간 집값이 급등해야 지정가능해 사후규제나 나온다는 얘기다. 울산, 창원, 포항 등 전국을 누비며 치고 빠지는 투기수요를 사전에 막는 것은 애초 불가능한 것이다.
최고가에 거래한 집주인들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지방 매매시장에서 과열 단계에서 매매에 뛰어드는 매수자들은 현지인 실수요자들이 많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나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 분양권투자 전문가는 “투자자들이 집값이 잠잠할 때 2~3번 손바뀜을 해 집값을 올려놓으면 실수요자들이 상투를 잡는 경우가 많다”며 “실수요자들은 소문에 한 템포 느릴 뿐 더러 집값이 계속 오르면 주거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 ‘더 오르기 전에 매매하자’는 심리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뒤늦게 규제가 들어오면 투자자들은 다 빠져나간 사이 현지인 집주인들만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결국 피해는 지역민들만 보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