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덮친 지난해 매우 행복했다고 느낀 국민들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서 행복감이 줄었다는 응답이 많았고 청년과 고령자 계층에선 경제적으로 불안하다는 인식이 늘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은 지난해 9∼10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8336명을 대상으로 한 '2020 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 0∼10점으로 측정한 행복감은 평균 6.4점으로 전년도(6.5점) 보다 하락했다. 응답 비율로 살펴보면 10점 만점인 '매우 행복했다'는 2019년 4.2%에서 지난해 1.5%로 크게 줄었다. 행복감 9점을 택한 비율도 7.6%에서 4.6%로 감소했다.
'내가 하는 일이 가치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평균 6.2점으로 전년 6.0점보다 0.2점 떨어졌다. 현재 본인의 경제적 안정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10점 만점에 평균 4.8점으로 1년 새 0.2점 하락했고 미래 본인의 경제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상하는 점수 역시 5.5점에서 5.4점으로 내렸다.
여성의 행복감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행복감은 2019년 6.7점에서 지난해 6.4점으로 낮아졌다. 삶의 만족도는 6.1점에서 6.0점,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은 5.2점에서 5.1점으로 각각 하락했다. 반면 남성은 행복감(6.4점)과 사회적 지위(5.3점) 점수는 변동이 없었고 삶의 만족도는 5.9점에서 6.0점으로 올라갔다.
현재 경제상황 안정 정도(0∼10점)를 묻는 질문에는 19∼29세 청년층이 평균 4.5점으로 가장 낮았고 60대 이상고령층이 4.6점으로 뒤를 이었다. 청년층과 고령층은 전년도와 비교해 경제적 안정 점수가 각각 0.3점, 0.4점 떨어졌다. 30대와 (5.0점)와 40대(5.1점)의 경제적 안정도 점수는 변화가 없었다.
소득별로도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달랐다.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인 집단의 행복감 점수는 2019년 6.2점에서 지난해 6.0점으로,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은 6.7점에서 6.5점으로 낮아졌다. 이에 비해 500만원 이상은 6.6점으로 동일했다.
이에 비해 국가에 대한 자긍심은 조사 시작 이래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는 문항의 응답은 1∼4점 중 평균 3.1점이었다. 이는 전년도 2.9점에서 0.2점 상승한 것으로, 이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점수다.
국가 기관별 신뢰도(1∼4점) 조사에서는 의료기관이 2.8점, 지방자치단체는 2.6점으로 각각 0.2점이 올랐다. 중앙정부는 2.4점으로 0.1점 상승했고 국회는 1.9점으로 그대로였다.
동성애자나 탈북민, 이민자 등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포용성 수준은 개선됐다. '동성애자를 집단 구성원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 비율은 57.1%에서 57.0%로 소폭 낮아졌고 북한이탈주민은 25.5%에서 18.3%로 하락했다. 외국인 노동자(11.3%→9.9%), 장애인(5.1%→3.6%), 결손가정 자녀(4.2%→3.0%) 등에 대한 포용성도 개선됐다. 다만 '전과자를 집단 구성원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율만 68.0%에서 69.4%로 올라갔다.
송진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국민들의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졌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은 덜 가치있다고 생각했다"며 "여성과 청년, 노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이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타격을 더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