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수석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올리비에 블랑샤르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지난 24일 이 싱크탱크 블로그를 통해 “1조9000억달러 부양책이 예상을 뛰어넘은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블랑샤르는 ‘아웃풋 갭(실질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 차이)’을 고려한 미국 경제의 수요 부족은 최대 9000억달러가량이며 승수 효과(파급 효과)를 감안할 때 1조9000억달러는 경기를 과열시킬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억눌린 수요가 분출할 수 있는 점과 바이든 행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위해 추가 부양책을 고려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도 지난 4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를 통해 “2차 세계대전 당시에 근접하는 수준의 경기 부양책은 한 세대 동안 경험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촉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머스는 12일 프린스턴대 세미나에서도 “젊은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다시는 문제가 안 될 것이란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는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바이든의 (부양책) 플랜은 과도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부양책 규모가 경제적 스트레스를 초래할 것이란 전문가들의 우려가 어리석은 건 아니지만 기우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크지 않으며 만약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더라도 미 중앙은행(Fed)이 충분히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타 고피나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도 IMF 블로그를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할 만한 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의 부양책으로 2022년 물가상승률이 2.2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지만 국내총생산이 3년간 총 5~6%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플레이션 논란은 월가에서도 최대 화두다. 미국의 경기 회복 기대와 초대형 부양책이 맞물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커져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이 여파로 증시가 흔들리면서다. 민주당은 늦어도 다음달 14일까지 1조9000억달러 부양책을 처리할 계획이다.
미 상원 사무처는 25일 논란이 됐던 최저임금 인상안은 민주당 단독으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고 결정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제안한 최저임금 두 배 인상은 사실상 무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