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대출 금리가 반년 만에 최대 0.6%포인트(p) 오르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등 투자를 위해 은행 빚을 졌거나 질 예정인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이다.
이는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해당 시점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춘 뒤 은행 대출 금리에도 저금리 기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다.
4대 은행의 25일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다. 역시 작년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우선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6개월 사이 0.6%포인트나 뛴 데는 기본적으로 이들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고채 10년물 등 장기 금리가 경기 개선이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대 등을 반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설 만큼 올랐다. 단기물의 경우도 상승 폭이 장기물만큼은 아니지만 오름세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현재 0.856%로 반년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신용대출 지표금리의 0.1%포인트 상승만으로 0.6%포인트에 이르는 신용대출 금리 인상 폭을 모두 설명할 수 없다.
나머지 금리 상승분은 작년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폭을 크게 깎은 데 따른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른다. 은행권이 2월에 적용한 코픽스(1월 기준)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0.86%로 작년 7월의 0.81%보다 0.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같은 대출 금리 상승세는 신규 차주(돈 빌리는 사람)뿐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들에게도 부담이다.
실제로 최근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더뎌진 데는 증시 정체 등뿐 아니라 금리 상승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25일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1747억원으로, 지난달말(135조2390억원) 대비 643억원 줄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