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4274941.1.jpg)
내 집 마련에서 시작된 로또는 이제는 전세 계약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단 내 집을 마련하는데 가장 인기 있는 방법인 청약부터 보면 이렇습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유망지역에서 청약을 받기 위해서는 가점제라는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 하지만, 가점이 낮은 주택수요자의 경우 운에 기댈 수밖에 없습니다. 운 좋게 특정 지역의 분양 아파트가 가점이 낮아 당첨된 경우도 로또이며, 부적격자로 인해 나온 추점제 물량에 당첨되는 것 또한 로또입니다. 작년 말 5억원 로또 DMC파크뷰자이 아파트의 계약 취소분 1가구를 놓고 진행된 무순위 청약에 30만 명 가까이가 신청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115702.1.jpg)
임대차계약 또한 로또입니다. 상임위를 통과한 임대차2법이 소급적용되면서 법 시행 이전에 한 계약은 로또이지만 시행 이후에 한 계약은 쪽박입니다. 이로 인해 서울 전세금은 끊임없이 오르는 중입니다. 전세 물량도 거의 없어 세입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수억 원의 전세금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발표된 2·4공급대책도 마찬가지입니다. 2021년 2월4일 이전과 이후에 주택을 매입한 경우 공공정비사업으로 지정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수익률은 극과 극일 수밖에 없습니다. 공공정비사업으로 지정될 곳을 2월4일 이후에 매입한 경우 현금청산을 당하는 데 말이 좋아 현금청산이지 강제수용과 다를 바 없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2/AA.25250102.1.jpg)
대표적인 게 우리의 청약시장입니다. 청약제도가 만들어지고 난 이후 150번 가까이 변경됐는데, 올해도 계속 바뀔 예정이랍니다. 변경하면 할수록 제도는 복잡해지고 이 복잡성에 따라 다시금 제도를 바꿔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이제는 청약담당자들마저 청약제도를 이해하기 어려워 법안을 찾아보면서 조심스럽게 상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첩첩히 쌓인 규제의 그림자입니다.
현 정부는 규제를 좋아합니다. 기본적으로 큰 정부를 지향하기에 규제를 통해 시장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규제 완화를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고 기업활동을 지원하려는 의지는 없어 보입니다. 정부에서 발표되는 대부분의 정책에 뉴딜이란 단어가 포함된 것을 보면 이들 생각의 단초를 읽을 수 있습니다. 사실 뉴딜(New Deal)이란 천재지변(대공황)과 같은 전대미문의 상황에서의 정부개입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정부는 첩첩히 쌓인 규제로 인해 우리 부동산시장을 본인들이 천재지변의 상황으로 만들어놓고 이때다 하고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시행되지 않는 규제들을 대거 도입하는 중입니다.
여당 의원들이 앞다퉈 내놓고 있는 전월세 무한연장, 부동산 민주화, 주택 공개념 등은 정치적 선전 구호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법적 근거를 계속 만들려는 이유는 규제로 인해 로또화되어 가는 시장실패를 가리려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부동산 정책실패가 정권 재창출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던 참여정부의 교훈을 다시금 떠올렸으면 합니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장(美SWCU교수)
<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