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탄소중립 이행 계획’을 발표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 환경부 소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탄소중립은 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을 상계해 순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10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환경부는 산업·수송 등 부문별 감축 잠재량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오는 6월까지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복수안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부문별 핵심 정책 추진 전략도 수립한다.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과제로는 △에너지 전환 미래차 △탄소중립 건물 △폐기물 제로 순환경제 등을 꼽았다. 올해는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 누적 30만 대 시대 달성을 위한 충전기반시설 확충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올 하반기에는 ‘수송 부문 미래차 전환 전략’도 마련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무공해차 보급·혁신, 내연기관차의 무공해차 대체, 무공해차 충전 인프라 대폭 확대 등을 통해 2050년 무공해차 100% 전환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환경부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무공해차 전면 전환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라며 “다만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시점 등은 산업계와 함께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서는 2030~2040년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며 “환경부도 이를 참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2035년 또는 2040년을 기점으로 국내에서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또 환경부는 올 4분기에 ‘순환경제 혁신 로드맵’도 발표한다. 순환경제는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친환경 경제 모델을 말한다. 환경부 측은 “자원순환의 전 과정 관리, 순환경제 이행 확산을 위한 기업의 친환경성 유도 등을 포함한 중장기 단계별 이행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올해 말 내놓을 ‘자연·생태기반 온실가스 감축·적응 전략’에는 탄소흡수원인 생태 공간의 복원·확대, 기후조절을 비롯한 생태계 기능 극대화 등 자연 생태계를 활용한 기후변화 문제 대응 전략을 담을 예정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