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7.14315371.1.jpg)
서울시 도시계획국이 박 전 시장 사후 돌연 반대 입장을 밝히고 나선 것. 논리는 간단하다. 교통난과 형평성이다. 하림 계획대로 양재나들목(IC) 인근 부지에 지하 7층, 지상 70층 대규모 물류단지를 허용할 경우 안 그래도 상습 체증 구간인 인근 도로 교통난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또 서울시 도시계획상 인근 부지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총면적 비율)이 400% 이내로 관리되고 있는데, 하림에만 800%라는 ‘특혜’를 줄 수 없다는 논리다.
하림은 억울하다. 용적률 800%를 고집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정한 첨단복합물류단지 관련 법에 따라 인허가 절차를 진행해 달라고 하소연한다. 용적률은 나중에 별도 기구에서 교통과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해 결정하면 될 일이라고 한다.
해당 지자체인 서초구도 그렇고,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도 하림과 같은 입장이다. 하림과 서초구 등이 아무리 얘기해도 서울시(정확히는 도시계획국)는 요지부동이다.
참다못해 하림 주주들과 직원들은 지난달 서울시가 고의적으로 물류단지 사업을 지연시키고 있다며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 감사원이 본 감사에 착수할지 여부는 곧 나온다. 관건은 서울시가 절차를 고의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는지와 그 논리가 합법적인지다.
전문가들은 다 해법은 있다고 한다. 하림 도시첨단물류단지의 교통난은 인근 강남순환도로가 완공되고 화물차량을 위한 접근로를 추가로 만드는 방법 등으로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현 서울시 고위 간부들은 대부분 박 전 시장의 9년 임기 동안 중용된 인물이다. 박 전 시장은 임기 내내 구태를 벗은 ‘행정혁신’을 강조했다. 서울시 간부들이 인허가권을 ‘권력’이 아니라 서울시 발전을 위한 봉사의 기회로 인식하고 해결책을 먼저 적극 찾아 나서길 기대해 본다.
ps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