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10424.1.jpg)
‘가장 잘 든 보험은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내시경 검사는 보편화 돼 있고 그 중요성도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위암과 대장암은 40대 이후부터 발병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권고된다. 그러나 귀찮고 복잡한 절차와 검사과정으로 인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검사를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박세우 교수에게 내시경 검사를 잘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수면내시경을 받을지 비수면 내시경을 받을지 선택할 때 비용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용이 들더라도 수면내시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경우들이 있다. 먼저 위내시경의 경우 내가 구역을 잘 참지 못한다면 수면내시경이 권장된다. 심한 구역질로 인해 목이나 식도가 찢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대장내시경의 경우 수술이나 출산 등의 경험이 있다면 역시 비수면으로 받았을 때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수면내시경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면내시경은 의학적으로는 진정내시경이라고 한다. 진정의 정도가 깊어질수록 환자는 힘든 시술과정을 기억하지 못하고, 의사는 환자의 돌발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진정제가 환자의 호흡이나 심혈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심장이나 폐가 안 좋은 경우 진정 자체만으로도 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수면내시경을 받고자 한다면 나의 병력을 잘 살피고 내시경 전문의와 철저한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내시경 검사를 받기 전에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을 먹으면 시술자도 힘들고, 검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검사를 받는 환자도 힘들어진다. 때문에 내시경 전 식사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게 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음식으로 씨앗류, 잡곡류, 김치 등이 있다.
씨앗의 경우 몸에 흡수되지 않고 남으며, 내시경 통로를 막아 검사를 힘들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최소 검사 사흘 전부터는 씨앗이 들어 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현미 등 잡곡밥 역시 소화가 어려워 피해야 하는 음식이다. 잡곡밥이 당뇨병 환자에게 좋은 이유가 바로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이다. 섬유질이 많은 김치, 채소, 해초류도 소화가 어려운 음식이다. 반면 고기는 의외로 어려움 없이 소화가 이뤄진다.
위는 식사 후 4시간 정도면 대부분의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다. 때문에 위내시경은 저녁식사까지 한 뒤 당일 아침만 굶으면 된다. 반면 대장내시경의 경우 검사 전 최소 8시간 이상 금식하도록 하고 있다.
내시경 검사가 보편화되며 암의 조기 발견이 증가하고, 조기 위암과 대장암의 경우 수술 없이 내시경만으로도 절제가 가능해졌다. 병변의 침범 깊이가 깊지 않고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면 치료내시경을 활용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혹은 점막하박리술로 점막 밑에 있는 암 부위를 도려내어 치료하게 된다. 최근 내시경 술기의 발전으로 위보다 훨씬 얇은 대장에서도 이러한 점막하박리술로 조기 대장암을 제거하고 있다.
박세우 교수는 “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과 함께 40대 이후부터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위내시경의 경우 1년에 한 번씩, 대장내시경의 경우 50세 이후부터 5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