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5649342.1.jpg)
여당과 정부, 청와대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태’ 해결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이 연일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위헌 논란에도 불구하고 LH 직원 처벌 강화를 위한 소급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신도시 지정 취소론, 신도시 토지수요자 전수조사론 등의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LH 사태가 ‘공정’을 강조해온 문재인 정부의 도덕성에 치명타를 날릴 초대형 악재인 데다 다음달 재·보궐선거와 1년 뒤 대선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를 의식해 ‘급한 불부터 끄고 보자’는 식의 대책이 난무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5651039.4.jpg)
여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신도시 지정 취소론과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경질론 등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홍익표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3기 신도시 취소 가능성을 묻는 말에 “비리가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면 그럴 가능성도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LH 관련 지시를 내린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주말 휴일을 제외하곤 지난 3일부터 5일 연속이다. 8일 법무부 업무보고에서는 “국가가 가진 모든 행정력, 모든 수사력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번주 안에 청와대 직원의 투기 의혹과 관련한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진성준 민주당 의원은 신도시 예정지 내 토지 소유자를 전수조사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공직자 외에도 다른 불법 행위를 저지른 사람이 다수 있을 것이라는 게 국민의 생각”이라며 “3기 신도시 등 택지 예정 지구 토지 소유자를 전부 수사해야 한다”고 했다.
행정안전부도 LH 투기 의혹 해소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이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원인 규명과 위법행위 적발, 제도 개선까지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이 LH 사태 총력 대응에 나선 것은 이번 사건이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연대 등의 LH 의혹 폭로 후 정당지지도에서 국민의힘이 오차범위 내에서 민주당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는 32.9%(YTN 의뢰, 지난달 22~26일 리얼미터 조사)에서 31.0%로 떨어진 반면 국민의힘은 32.0%로 1.3%포인트 상승했다. 이달 5~6일 입소스 여론조사에선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야권의 안철수·오세훈 후보 누구로 단일화해도 박영선 민주당 후보를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현/하수정/최진석 기자 alp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