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5645596.1.jpg)
1815년 6월 18일, 벨기에 브뤼셀 근교의 워털루에서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웰링턴 장군의 영국군이 최후의 일전에 돌입했다. 같은 날 런던증권거래소에서는 무수한 투자자가 초조하게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다. 영국군이 이기면 투자한 영국 국채로 돈방석에 앉지만, 지면 깡통을 찰 수도 있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이날 저녁이 되자 나폴레옹의 패색이 짙어졌다. 그러자 로스차일드 가문에서 파견한 정보원이 브뤼셀로 달려가 배를 갈아타고 영국해협을 건넜다. 이튿날 새벽, 영국 포크스턴 해변에 도착해 직접 부두로 나온 네이선 로스차일드에게 편지 한 통을 전했다. 그는 봉투를 뜯어 훑어본 뒤 런던증권거래소로 달려갔다. 모든 사람의 시선이 그에게 쏠렸다. 이윽고 네이선이 눈짓을 하자 그의 거래원들이 영국 국채를 팔아치웠다. 이 모습을 본 투자자들도 너도나도 팔자고 나섰다. 몇 시간 뒤 국채는 액면가의 5%도 안 되는 휴짓조각으로 변해 있었다. 이를 태연히 지켜보던 네이선이 눈짓을 하자, 거래원들이 반대로 국채를 닥치는 대로 사들였다. 웰링턴 장군의 특사가 승전보를 갖고 런던에 당도한 것은 이틀 뒤였다. 네이선은 그사이에 영국 국채로 20배의 차익을 챙겼다.
네이선의 일화는 프랑스 작가 발자크가 처음 언급한 뒤 로스차일드 가문이 세계경제를 좌우한다는 음모론의 소재가 되었다. 전쟁이 벌어질 때마다 그 배후에 로스차일드 가문이 있었고, 가문의 총재산이 무려 6경원에 달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주무르며 비밀결사인 프리메이슨의 일원이라는 음모론이 지금도 공공연히 회자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5645545.1.jpg)
메이어의 진짜 재산은 다섯 아들이었다. 그들은 유럽 주요 도시들로 퍼져 은행을 세웠다. 5개 주요 도시에 설립된 로스차일드은행은 단일체처럼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역사상 최초의 다국적 국제금융그룹이 탄생한 것이다. 로스차일드 형제들은 각지의 정보원을 이용해 각국 정부와 금융시장 동향을 공유하며 부를 늘려갔다. 로스차일드 가문의 문장에는 라틴어로 ‘협력·성실·근면’이란 글귀와 화살 5개를 손에 쥔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화살처럼 빠르며 5형제가 하나로 뭉치면 결코 부러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형제들은 신속한 정보력과 단합된 힘으로 19세기 유럽의 돈줄을 거머쥐었다.
프랑스 지부를 운영한 제임스와 네이선의 아들 너대니얼은 와인 산지로 유명한 보르도의 와인 공장을 인수했다. 제임스가 사들인 샤토 라피트 로쉴드와 너대니얼이 인수한 샤토 무통 로쉴드는 한 병에 수백만원을 호가할 만큼 최상급 와인으로 꼽힌다. 미술품 수집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에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기증한 판화를 전시하는 로스차일드 홀이 있을 정도다.
그렇다 보니 온갖 억측과 오해를 낳았고 음모론까지 더해져 국제정치와 금융을 쥐고 조종하는 비밀세력으로 각인되었다. 쑹훙빙은 1850년을 전후로 로스차일드 가문의 재산이 60억달러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150여 년간 연 수익률을 6%로 계산하면 지금쯤 50조달러에 이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추측은 매우 과장되었다는 게 역사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나폴리은행은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폐쇄되었다. 프랑크푸르트은행도 후계자가 없어 문을 닫았다. 빈은행은 대공황 때 큰 손실을 봤고 나치에 의해 몰수되었다. 런던과 더불어 핵심 역할을 했던 파리은행도 1981년 국유화되었다.
그럼에도 유대 자본, 비밀주의, 과거 정치적 영향력 등으로 인해 로스차일드에 관한 추측과 음모론이 끊이지 않는다. 가문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와 달리, 19세기 세계 금융을 주도했던 가장 큰 요인은 신용에 있었다. 금융자본은 신용 없이는 존속할 수 없다.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②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성당기사단, 빌더버그 등 거대한 지하조직이 세계를 지배하고 조종한다는 음모론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이유는 왜일까.
③ 한국은 교보와 미래에셋을 제외하면 거대 금융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데 신용사회가 성숙하지 못한 때문일까.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