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702428.1.jpg)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진애 열린민주당 후보가 12일 범여권 후보 최종 단일화 후보를 결정하기 위한 첫 TV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JTBC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토론회에 출연한 박영선 후보와 김진애 후보는 토론 시작부터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들의 투기 의혹에 대한 입장을 피력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그러면서 그는 "특검은 국가수사력을 총동원할 수 있는, 법이 정한 기구다. (야당 측이 제안하는)검찰 수사는 고양이에게 생선을 갔다 주는 격이 될 수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박영선 후보는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대상 전수조사도 거절했다"면서 "증거인멸은 해본 사람만 안다. 세월호 증거인멸 누가 했는가. 이명박 정부 당시 민간인 사찰의 증거 인멸 누가 했는가. BBK 사건 거짓 수사 누가 했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701789.1.jpg)
박영선 후보의 LH 사태 관련 특검 수사 도입 제안에 국민의힘 측과 오세훈 후보가 "증거인멸 위한 시간 끌기"라며 반대 의사를 밝힌 것을 강하게 비난한 셈이다.
이에 김진애 후보는 박영선 후보의 특검 수사 도입 주장에 대해 "전형적인 여의도 문법, 정치적이란 것"이라면서 "소나기 피하듯 피하려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실 문제는 (LH 사태뿐만 아니라) 그간 이뤄진 신도시 사업, 4대강 사업, 뉴타운 사업 등 산적해 있다"면서 "발본색원을 하자는 것은 이같은 문제들에 대한 제대로 된 수사가 중요하단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LH 사태에서는 특검 수사 도입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를 잡아야 한다"며 "LH는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 주도하기 위해, 토지공사와 주택공사를 합쳐 만든 것이다.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701941.1.png)
이어 그는 "사실 요즘 언론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대선, 보궐선거 등을 연결하려 하는데, 안철수 후보를 비롯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둘러싼 (정치권)그러한 얘기는 소설이다"라면서 "사람이 정도를 걸었을 때 맺은 인연으로 연락하는 것은 잘못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진애 후보가 "윤석열 전 검찰총장, 사퇴 당시 정치적 행보의 클라이맥스를 찍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어색한 사퇴'가 끝이다. 소극적인 것 아닌가"란 지적에 박영선 후보는 "할 말은 많지만 서울시장 이슈와 윤석열 전 총장의 사퇴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고 판단해 발언을 절제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박영선 후보는 김진애 후보의 "안철수 후보가 윤석열 전 총장으로부터 콜을 받고 싶어 하는 것 같다. 박영선 후보도 그러한가"라는 발언엔 "많이 나간 것 같다. 어떠한 사람이 정도를 걸었을 때 맺은 인연으로 연락하는 것은 잘못이 아니라고 본다"고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702436.1.jpg)
먼저 김진애 후보는 '21분 도시' 공약에 대해 "내 학생이면 F학점"이라면서 "서울은 10년간 307개 역세권을 중심으로 하는 '10분 동네' 개념을 가꿔왔다. (21분 도시는) 기존에 쌓은 도시를 무시하겠다는 게 아니면 그렇게 쪼갤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진애 후보가 "21분이면 광화문에서 동대문 정도의 거리인데 평소 걸어 다니느냐. 우리의 삶에 대한 생각이 빠져있다"고 비판하자, 박영선 후보는 "21분 도시는 생활권 개념"이라면서 "15분 도시 파리가 있고 최근 뉴욕 시장 선거에서도 15분 도시 얘기가 나온다. 궁극적으로 걷는 도시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김진애 후보가 "21분 도시를 말하며 마곡을 예로 드는데, 마곡은 허허벌판에 신도시 개념으로 지은 곳이다. 지금의 서울을 쓸어 없애고 만들 생각이냐"고 지적하자, 박영선 후보는 "김 후보가 '10분 동네'를 주장하셨는데 10분 동네의 단점을 확대, 발전한 게 21분 도시"라고 주장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