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이 인공지능(AI)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AI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하정우 네이버 AI LAB 연구소장은 17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AI미래포럼 창립 웨비나’에서 “AI라는 거대한 거인의 어깨 위에서 멀리 볼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하 소장은 이날 ‘AI 연구의 최신 동향과 한국의 과제’를 주제로 연사로 나섰다. 그는 네이버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설립한 ‘네이버 AI LAB’의 초대 소장을 맡고 있다. 네이버 AI랩은 주로 중장기 선행 AI 기술을 연구하는 곳이다.
반면 우리 정부의 AI 연구 지원은 ‘시작 단계’라는 게 하 소장의 지적이다. 그는 “정부가 지난해부터 ‘데이터 댐’ 구축 사업에 굉장히 많은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와 데이터 재가공을 위한 지원도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일명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가공하는 ‘데이터 댐’ 구축을 관련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도 제안했다. 해외 연구자의 비자 발급 제도 개선이 대표적이다. 그는 “한국의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외 유수 연구자를 영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직도 비자 발급받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토로했다. 정부의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도 개선 대상으로 꼽았다. 하 소장은 “정부의 관련 부처 간 이해관계로 칸막이가 생겨 지원 체계의 효율성도 떨어진다”며 “AI 정책과 관련해 강력한 오너십을 가진 정부 조직을 구성해 지금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 중심으로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AI 인덱스 2021’에 따르면 북미의 AI 분야 신규 박사 학위 연구자가 산업계에서 둥지를 튼 비율은 2010년 44%에서 2019년 65%로 증가했다. 정부가 AI 기업에 대한 지원을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하 소장은 “AI 연구의 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관련 연구 시설도 운영할 수 있는 기업으로 AI 연구의 중심이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특정 회사 하나만의 노력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의 협업과 공동학위연구 등 산학협력 시스템 강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주완/이시은 기자 kjw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