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7.18178518.1.jpg)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도쿄를 방문해 일본 측 관계자들을 만난 뒤 다음달 예정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워싱턴 방문을 준비했다. 이어 오스틴 장관은 인도로 가고 블링컨 장관은 알래스카에서 미·중 고위급회담을 한다. 여기서 호주 같은 미국 동맹국에 대한 중국의 무역 압박에 문제를 제기할 전망이다.
인도·태평양에 대해 미국이 한 약속의 성격과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주변국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중국의 결단을 수용할지, 아니면 거부할지를 고민하는 나라들로선 생사를 다투는 문제다. 마이클 그린은 2017년 저서 《신의 섭리 이상으로(By more than providence)》에서 인도·태평양이 미국 정책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게 단순 유행이 아님을 보여줬다. 그는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오래전부터 미국의 대외정책에 지속적으로 포함돼 있었다는 걸 증명했다.
미국이 1803년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주를 사들여 서부 해안선을 조성한 순간부터 안보에 대한 의구심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외교의 골격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1842년 존 타일러 대통령이 먼로 독트린(미국과 유럽의 상호 불간섭주의)을 하와이로 확대하자 아시아지역의 균형이 미국의 국내 안보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는 사고가 워싱턴의 정책 입안자 사이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졌다.
그럼에도 아시아태평양지역은 그 어느 때보다 미국의 번영과 안보에서 중요한 곳이다. 전쟁이라는 함정에 빠지지 않고 균형 있고 안전한 지역 질서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미국과 동맹국들도 실수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유구한 역사와 미국의 이해구조에 너무 깊이 뿌리를 두고 있어 미국이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떠날 가능성은 작다.
정리=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이 글은 월터 러셀 메드 WSJ 칼럼니스트가 쓴 ‘Why the U.S. Won’t Leave the Indo-Pacific’을 정리한 것입니다.
한국경제신문 독점제휴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