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없애는 방식으로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높이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라는 금융당국 요구에 ‘대출문턱’을 불가피하게 높였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자는 주로 무주택자라는 점에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잡으려는 정책이 서민의 이자부담만 키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최근 경기 회복으로 시장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앞으로 전세대출 금리가 더 뛸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은행들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와 금융채 1년물 등의 조달 비용을 기준으로 전세대출 금리를 책정한다. 이 은행의 전세대출 최저금리(자체 신용등급 3등급·만기 2년 일시상환 변동금리 기준)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연중 가장 낮은 수준에 있던 지난해 7월 말 연 2.06%에서 이날 기준 연 2.47%로 올랐다. 기존에 대출을 냈던 사람이 계약을 연장해도 내려간 우대 금리가 적용돼 실질 금리가 뛰게 된다.
전세대출의 우대금리를 낮춰 실질금리를 올린 건 우리은행만이 아니다. 농협은행은 지난 8일부터, 신한은행은 지난 5일부터 각각 전세대출을 포함한 주택관련 대출의 우대금리를 각각 0.3%포인트, 0.2%포인트 낮췄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한 은행이 금리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은행에 대출 모집인들이 한꺼번에 번에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난다”며 “최근 풍선효과로 전세대출 증가세가 너무 가팔라 속도조절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전세대출을 죄는 조치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은행은 조절이 불가피하다고 여기는 반면 금감원은 ‘모니터링 강화’일 뿐, 은행에 직접 금리를 조절하라고 명령을 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전세대출 규모가 늘면 집값을 밀어올리므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전세값이 뛴 상황에서 서민들의 이자 부담만 키운다는 의견이 부딪힌다.
전세대출 금리가 더 뛸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물가상승 압력이 시장금리를 끌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대출 지표로 삼는 은행채 1년물 기준 금리는 이날 0.89%로 지난달 말(0.84%)에 비해 0.05%포인트 올랐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이날 임원회의에서 “(시장)금리 상승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위험요인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특히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아 금리 상승 위험에 노출된 차주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대훈/오현아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