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5826672.1.jpg)
[찬성] 재원확보 다각화 노력 필요 '틈새 과세' 시도해 볼 상황
국민 생활 다방면에 걸쳐 복지가 확충되는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다. 근대 이후 부각된 복지국가 차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현대 민주국가에서는 의당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그럼으로써 경제적 격차 해소, 사회적 양극화 완화도 이뤄내야 한다. 복지 강화는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이 아니다.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들이 먼저 길을 튼 현대국가의 소명이기도 하다.재원 문제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어떻든 피할 수 없는 게 복지 강화다. 복지가 제대로 돼야 국가의 생산성도 올라가고 경제도 탄탄하게 발전할 수 있다. 복지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공적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원유가 생산된다든가 쌓아둔 국부(國富)펀드라도 있으면 좋겠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 결국 국민이 세금을 더 부담하거나 나랏빚을 더 내는 길뿐이다. 국가채무 확대는 대외신인도 문제가 걸려 단기에 추가로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세금 확대로 가도 소득세 법인세(기업세) 부가가치세(소비세) 등에서 증세를 하면 좋겠지만, 경제에 주는 부담도 봐야 하고 국민의 조세저항 문제도 감안해야 한다.
그래서 대안이 새로운 세원(稅源)을 발굴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쪽에서 나온 설탕세가 그런 사례다. 당(糖)이 포함된 가당음료를 제조·가공·수입·유통·판매하는 사업자에게 세금을 새로 부과하는 것이다. 일종의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이다. 당류가 들어 있는 음료에 대해 100L당 1000~2만8000원가량의 세금(부담금)을 부과하는 식이다. 역시 여당에서 나온 청년세는 법인(기업)에 과세표준금액의 일정 비율로 세금을 따로 걷어 청년 일자리 창출과 그를 위한 사회 여건 개선에 쓰자는 것이다. 시멘트법은 기존의 지역자원시설세 대상에 시멘트를 추가하자는 것이어서 집행에 크게 어려울 게 없다. 행정안전부도 이미 그런 방향으로 정책 추진 의지를 밝힌 적 있다. 다수 국민에 대한 세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반대] '보편증세' 정공법 피하는 꼼수 복지 구조조정 먼저해야
보편복지로 나아가려면 보편증세가 필요하다. 이게 당당한 정책이자 정공법이다. 세금을 더 걷지 않겠다며, 증세는 없다고 외치며 특별한 영역에서 세금을 신설하는 것은 꼼수다. 복지 확충에 대한 국민의 책임의식을 허물어뜨리는 나쁜 정책이 될 수 있다.경제적 취약 계층, 장애인, 결손 가정 등 사회 경제적으로 특별한 약자들을 집중 지원하는 ‘선별복지’라면 ‘선별증세’가 맞을 수도 있다. 하지만 교육·의료·일자리 등에 걸친 최근 한국의 복지는 국민 다수를 지원 대상으로 하고 있다. ‘코로나 재난지원금’에서 그랬듯이 부자든 가난한 이든 구별 없이 국민 모두에게 현금을 지원하기도 한다. 이런 지원은 한 번에 수십조원씩 든다.
더 시급한 것은 복지 구조조정이다. 지원 효과가 없거나 지원의 타당성이 부족한 것, 장기적으로 계속될 수 없는 복지프로그램은 과감히 통폐합을 해야 한다. 그러면서 지원받는 쪽에 실질적 도움이 되게 하고, 조기에 홀로 일어설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원이어야 한다. 복지의 전달 체계에 이상이 없는지 살피고 보완하는 것도 중요하다. 중앙정부든 지방자치단체에서든 중간에 지원금이 새는 복지 누수현상을 막아야 한다. 서유럽 등지에서도 지원 전달체계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게 국가적으로 큰 고민이었다. 적격자를 가려내는 것부터 시작해 중간에서 ‘빼먹기’ 없이 제대로 전달하려면 행정 비용도 만만찮게 들어간다. 때로는 몸통보다 꼬리가 커질 수 있다.
재원 마련에서 국민 모두가 부담을 두루 나눠 가질 필요가 있다. 장기발전을 위한 생산적 복지가 되기 위해서다. 그러자면 세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 3대 세목을 중심으로 증세 논의를 시작하는 게 당당한 접근이다. 소득세는 아직도 전체 근로자의 40%가량이 한 푼도 내지 않는다. 법인세도 내는 기업이 편중돼 있다. 부가가치세는 국민 모두가 대상인 까닭에 정치권이 회피하고 있다. 이들 세금의 조정으로 재원을 마련하는 게 그나마 현실적 대책이다.
√ 생각하기 - 소비자에 전가 지속가능성도 의문…'재원 문제'에 솔직할 때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AA.24015815.1.jpg)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