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14.6%,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6.9%를 기록했다. 윤 전 총장은 지역적으로는 대전·세종·충청(40.3%)과 대구·경북(33.2%),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8.0%)에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사는 지역적으로 인천·경기(32.1%)에서, 연령별로는 30대(36.8%), 40대(39.0%), 50대(31.2%)에서 지지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 위원장은 호남(47.9%)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 지사뿐만 아니라 이 위원장의 지지율 역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4·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태’ 등으로 여권에 비판이 심해지자 지지층이 오히려 결집한 것으로 분석된다.
윤 전 총장은 최근 재·보궐선거로 인해 여론에서 관심이 멀어지자 지지율이 다소 하락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시장 선거 단일화에서는 패했지만 안철수 대표의 지지율이 올라가면서 야권 지지 분산 효과가 발생한 것도 윤 전 총장의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관측된다.
윤 전 총장의 대선 가도에서 가장 약한 연결 고리는 ‘경제 분야’인 것으로 드러났다. 차기 대선 후보 가운데 ‘국가 경제를 가장 잘 이끌 것 같은 인물’에 대한 설문에서 이 지사는 31.5%를 얻은 데 비해 윤 전 총장은 11.4%에 그쳤다. 이 지사는 차기 대선 지지도 대비 5.9%포인트 높은 지지를 얻은 반면 윤 전 총장은 15.4%포인트 낮았다.
이 지사는 그동안 기본소득과 기본대출, 기본주택 등 기본시리즈를 주장해오면서 민생 경제와 관련한 메시지를 꾸준히 내온 데 비해 윤 전 총장은 경제 관련 입장을 밝힌 적이 없었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경제 분야를 포함해 외교·안보 등 국가 경영 전반에 대해 윤 전 총장의 능력 검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국정을 이끌어온 이 위원장(11.0%), 기업인 출신인 안 대표(10.8%)와 비슷한 수준의 지지를 받은 점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최근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서울과 대전·세종·충청에서 정권 교체 답변이 각각 59.3%, 62.1%로 높았다. 호남에서는 정권 재창출 응답이 80.6%로 압도적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 역시 ‘잘했다’는 응답(39.9%)보다 ‘잘못했다’는 응답(56.7%)이 16.8%포인트 높았다. 부동산정책 실패 및 코로나19 백신 확보 지연, 검찰과의 갈등 등이 부정적 평가 요인으로 꼽힌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