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2020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6.8점으로 OECD 10개국 점수 평균(62점.2019년)을 웃돌았다. 2018년 조사(62.2점) 때보다도 점수가 4.6점 올라간 것이다. 지난해 주식·부동산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관련 금융이해력 점수가 올라간 것으로 한은은 파악했다.
금융이해력은 금융 생활을 위해 필요한 ▲ 금융 지식(합리적 금융 생활을 위해 갖춰야 할 지식) ▲ 금융 행위(건전한 금융·경제생활을 위한 행동 양식) ▲ 금융 태도(현재보다 미래를 대비하는 의식) 3개 분야에 걸쳐 측정하고 종합 점수를 OECD 등 국제 기준에 따라 산출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 10일~10월 30일에 만18∼79세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나이별로 보면 청년층(18~29세, 64.7점)과 노년층(60~79세, 62.4점)은 전체 평균보다 금융이해력 점수가 저조했다. 성별로는 남자(66.6점)와 여자(67.0점) 점수가 비슷했다. 부문별로는 금융 지식(65.7점→73.2점)과 금융 행위(59.9점→65.5점) 점수가 올랐다. 반면 금융 태도(61.3점→60.1점)는 소폭 하락했다.
조사 대상자의 97%는 "적극적으로 저축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장기 재무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한 성인은 전체 43.5%로 저조한 수준이었다. "은퇴 준비에 자신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14.2%에 불과했다. '소득 상실시 생계비를 감당할 수 있는 기간'은 ▲1개월 미만 10.6% ▲1∼3개월 26.1% ▲3∼6개월 21.3% ▲ 6개월 이상 37.9%로 집계됐다. 10명 가운데 6명은 소득이 끊기면 6개월 이상을 넘기기 어렵다는 뜻이다.
18~29세 청년층은 '저축보다 소비를 선호한다'에 동의한다는 응답률이 34.2%로 반대 응답률(26.0%)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취준생 포함) 10명 가운데 8명이 OECD의 금융 행위 부문에서 최소목표점수에 미달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