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889770.1.jpg)
"꽃은 절대 그리지 않겠다고 생각했던 소재였어요. 하지만 군대간 아들이 제 생일에 보낸 꽃바구니를 받고선 '이렇게 아름다운 걸 그리지 않는다면 뭘 그린단 말인가'하며 붓을 잡았죠."
이정은 작가의 말처럼, 꽃은 화가들에게 피하고 싶은 소재 중 하나다. 너무 많은 화가가 다룬 가장 오래된 대상이기 때문이다. 서울 관훈동 통인화랑의 '화론(花論)'은 클리셰에 반기를 든 전시다. 김정선, 김제민, 신수진, 이광호, 이만나, 이정은, 이창남, 한수정, 허보리 등 중견작가 9명은 뻔한 소재 꽃을 자신만의 색깔로 풀어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889600.1.jpg)
시작은 이창남이었다. 코로나19로 모든 일상이 멈췄던 지난해 김정선 작가에게 제안했다. "너무 우울하지 않니? 우리 꽃 그림 그리자." 서로 작가를 추천하며 1964년생 이창남부터 1981년생 허보리까지 모였다. 김정선은 잡초 속에서 생명력을 뿜어내는 노란 민들레를 구상에서 추상으로 발전시켜가는 작품 '지금 여기'를 내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889604.1.jpg)
이창남은 꽃에 시간을 더했다. 약 3주간 진행된 작업을 통해 화병 속 꽃이 피어나고 시들어가는 과정을 담았다. "머리만 남기고 이미 죽은 꽃은 시들어가는 과정에서 시간을 드러낸다"는 설명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889756.1.jpg)
신수진은 작은 꽃잎이 모여 하나의 꽃송이를 만드는 겹꽃을 내놨다. 세필붓에 유화물감을 묻혀 꽃잎 하나하나에 실린 생명력을 그렸다. 신수진은 "작은 일상, 하나하나의 순간이 모여 만들어가는 것이 인생이라는 점에서 겹꽃은 내 삶과 닮았다"고 소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889624.1.jpg)
허보리는 빠르고 거친 붓놀림으로 능내역, 고기리의 흐드러진 꽃밭을 리드미컬하게 풀어냈다. "실제로 춤추며 그림을 그린다"는 그의 말처럼 그의 캔버스에서는 힘과 흥이 넘친다. 참여작가 중 유일한 동양화가인 이정은은 꽃과 고양이, 책이 더해진 현대적인 책가도(冊架圖)를 선보인다. 전시는 4월 11일까지.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