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인베스코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증세와 관련, "역사적으로 미국 증시는 세금이 인상된 해에도 대체로 좋은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세금보다는 경기와 통화정책 등 다른 많은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약 4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부양책을 공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부양책은 두 단계다. 이번에 발표될 부양책은 도로, 항만, 통신 등 물적 인프라에 투자하는 내용으로 2조2500억 달러 규모로 알려졌다. 몇 주 뒤 교육·복지 등 사회적 인프라 확충 관련 부양책을 추가로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행정부는 인프라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증세를 추진한다. 증세 규모는 10년간 3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WP는 △법인세율 인상(21%->28%) △무형자산을 통한 역외 소득에 대한 최저세율(GILTI) 인상(10.5%→21%) 등이 추진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스트레트가스의 댄 클리프튼 정책연구총괄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증시는 증세에 제대로 준비되지 않았다. 지난 1년간 강세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아왔는데, 이제는 문제가 생겼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901588.1.jpg)
이에 대해 인베스코는 "바이든의 증세 제안은 역사적 관점으로 봐도 규모가 크다"며 2021년 1400억 달러, 2022년 3000억 달러 등 2021~2030년까지 총 3조1000억 달러의 연방 세수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인베스코는 다만 법인세의 경우 28%로 높아져도 지난 수십 년간의 세율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법인세율은 1960~70년대 40% 수준이었고 1990~2017년 35% 안팎이었다.
인베스코에 따르면 과거 증세가 시행됐을 때 뉴욕 증시는 상승하기도 했고, 내리기도 했다. 1940~50년대에는 증세가 이뤄졌지만 강세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감세가 단행됐는데도 인플레이션 급등 및 금리 상승으로 뉴욕 증시는 평균 이하의 수익률을 보였다. 1980~90년대에는 감세가 행해졌고 증시는 올랐다. 2000년대에는 감세가 이뤄졌지만 닷컴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이 터져 증시의 성과는 저조했다. 2010년대 초반엔 세율이 인상됐지만 경기 회복으로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집권했던 2013년 당시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실시했던 감세가 만료됐지만 증시는 그해 30% 이상 상승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901593.1.jpg)
인베스코는 "역사적으로 보면 세금보다는 경기와 통화정책 등 다른 많은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면서 "세율과는 별 관계없이 시장은 꾸준히 상승해왔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골드만삭스는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대로 증세 계획을 완전히 이행할 경우 S&P 500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이 9% 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2022년 S&P 500 기업들의 EPS를 197달러로 전망한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중인 증세 방안 중 일부(법인세율 25%로 인상)만 통과되면서 기업들의 이익이 3% 감소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901599.1.jpg)
골드만삭스는 이를 기반으로 S&P 500 지수가 올해 말 4300, 내년 말 4600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만약 이익이 9%까지 줄어들면 골드만삭스의 S&P 500 전망치도 내려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