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AA.25999577.1.jpg)
암호화폐의 가치는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품질, 사용자 수 등을 아우르는 ‘생태계’가 좌우한다. 코인은 특정 블록체인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일종의 보상이다.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가치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투자자가 코인과 연계된 서비스를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업자가 소개한 앱이 실체가 있는지, 사용자 수는 충분히 늘고 있는지 등을 꼼꼼히 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회사 중 공신력 있는 곳은 서비스 품질뿐만 아니라 투명성 확보에도 공을 들인다. 시중에 사기성 암호화폐가 많기 때문에 이들과의 차이점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암호화폐의 구조와 기능 등을 담은 백서를 발간하고,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게 일반적이다. 발행한 암호화폐와 관련한 중요 사실이 발생하면 여러 공시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에게 알린다.
믿을 만한 거래소에 상장된 암호화폐인지도 살펴봐야 한다. 코인마켓캡 등 암호화폐 정보 사이트에서 거래량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정상적 코인이라면 대개 거래가 활발히 이뤄진다.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 ‘쟁글’을 운영하는 이현우 크로스앵글 대표는 “신뢰도 높은 코인은 여러 사용자에게 물량이 잘 분배돼 있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기 수법이 점차 교묘해지면서 대형 거래소에 상장된 암호화폐라고 하더라도 사기 가능성을 완벽하게 배제하기는 어렵다. 암호화폐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은 더욱 그렇다. 구 지사장은 “암호화폐 사기를 당하지 않기 위해선 ‘공짜는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수익을 보장한다’는 문구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암호화폐는 대부분 사기로 간주하면 된다”고 말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