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제통화기금(IMF) 재정모니터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6년까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53.2%에서 69.7%로 16.5%포인트 높아질 전망이다.
이는 IMF가 분류한 주요 35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에스토니아(15.7%)와 체코(11.0%) 등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작은 국가가 2, 3위를 기록했다.
주요 35개국 평균(-1.4%포인트), 유로존 평균(-6.3%포인트), 주요 7개국(G7) 평균(-1.5%포인트) 등은 모두 마이너스였다. 주요 선진국 현황을 보면 독일과 캐나다는 부채 비율을 각각 13.2%포인트, 18.2%포인트 낮출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과 영국은 증가폭이 각각 1.7%포인트, 5.9%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나랏빚에 가계, 기업의 부채를 합친 총부채는 5070조원으로 집계됐다. 전년(4594조원)에 비해 10.3% 증가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다. 부문별로 보면 지난해 말 기업 부채 2138조원, 가계 부채 1998조원, 비영리 공공기관을 합한 일반정부 부채(D2) 934조원 등이었다.
2011년만 해도 2859조원이던 국가 총부채는 9년 사이에 1.8배 늘었다. 작년 말 기준 한국 인구가 5178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국민 1인당 9791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가계 및 정부 부채 증가 속도가 가팔랐다. 2010년 968조원이던 가계 부채는 10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했다.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도 103.8%로 처음으로 100%를 넘어섰다. 2015년 이후 가계 부채 증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박윤진 국가회계재정통계센터 재정통계팀장은 “저금리 상황 속에서 크게 증가한 부채는 추후 금리 인상 등에 따라 상환 비용 급증으로 이어져 경제 전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겠다며 지난해 12월 국회에 제출한 재정준칙 제정안은 국회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여당은 재정을 더 풀기 위해 준칙을 만들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더 강력한 준칙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추경호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재정중독 경향에 경제정책 실패가 겹치면서 민간과 정부 모두 빚더미에 올라앉았다”며 “2030 미래세대에게 빚 폭탄을 안겨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진규/노경목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