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펴낸 'OECD 수산업 보고서'에도 이 같은 내용이 담겨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연간 평균 수산물 소비량은 인류 평균 소비의 3배를 넘을 정도다. 세계 인구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20kg가량이다.
일본의 오염수 배출로 인해 우리 국민들의 밥상이 위기에 처하자 정부 역시 발 벗고 나섰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전날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는 국민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어떠한 조치와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 등 일본 8개 현의 모든 수산물은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그 외 지역의 일본산 수산물은 수입 시 식약처 주관으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박 차관은 "수산물 40종에 대해 2016년도 이후 매년 2000건 이상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는데, 올해 3000건 이상으로 검사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역시 들끓고 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감 표명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라며 우리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하고 나섰다.
원 지사는 "일본 정부는 자국민뿐 아니라 한국과 중국 등 인접국과 해당 국민에게 오염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며 "오염수 처리방식에 대한 최종결정 또한 인접 국가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결정해야 했다"고 전했다.
이어 "제주 주재 일본 총영사를 초치하고, 일본 대사와 면담을 통해 강력한 항의를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 원 지사는 이날 전문가들과 함께 국제법 및 국내법상 대응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