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ZN.26097340.1.jpg)
주호영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2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노 후보자에 대해 "세종시 공무원 특혜로 아파트를 사서, 살지도 않은 채 팔아 2억원 이상의 차익을 올렸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과 투기를 제대로 잡기 위해 임명되는 자리에 가는 게 문제가 없는지 철저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은 "분양 당시 노 후보자가 아파트 분양가 2억7000만원 가운데 2억2000만원을 대출금으로 충당했고, 전세금으로 갚았다"며 갭투자로 볼 이유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추가비용을 제외하고) 단순히 분양가로 계산하면 노 후보자는 5000만원을 실투자했고, 2주택자를 유지하다가 시세차익을 보고 매도했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ZN.25724063.1.jpg)
노 후보자는 서울 반포동 빌라형 아파트를 시세의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 신고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노 후보자는 국무조정실장으로 있던 지난해 공급면적 174㎡(52평형), 전용면적 121㎡ 짜리(37평) 아파트를 6억4600만원으로 신고했다. 전년도 5억8800만원에서 5800만원 올린 가격이다.
이는 실제 거래가와는 큰 차이가 있는 공시가격이라는 게 논란의 요점이다. 이 아파트의 현재 공시가격은 지난해보다 3500만원 오른 6억8100만원이다. 비록 한 동짜리 '나홀로 아파트'지만 주변 같은 면적의 빌라형 아파트들의 시세는 15억원을 웃돌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축소 보고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노 후보자는 이 아파트를 구입할 당시 2억7120만 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
재산 과소신고 논란은 노형욱 후보자가 처음이 아니다. 앞서 장관을 지낸 변창흠 전 국토부 장관 또한 지난해 12월 임명당시에도 의혹이 있었다. 당시 변 전 장관은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파트(전용 129㎡·39평) 1채를 보유 중이이라고 신고했다. 신고가액은 공시지가를 적용한 6억5300만원으로, 2006년 매입한 금액(5억2300만원)과 1억원 정도만 차이났다.
청문회 당시에도 '강남 중형 아파트가 6억원'이라며 일반인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 아파트 또한 '나홀로 아파트'로 거래가 거의 없었지만, 지난 1월 모처럼 거래가 나왔다. 변 전 장관의 집보다 작은 면적인 전용면적 105.74㎡가 14억8000만원(5층)에 거래됐다. 이로 미루어 보아 변 전 장관의 아파트 시세는 신고액인 6억원대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됐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