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에 대한 해석은 차고 넘친다. 다락같이 오른 집값, 세금 폭증, 일자리 참사, 조국·추미애·윤미향으로 이어진 ‘내로남불’ 시리즈,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백신 확보 지체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실정(失政)에 민심이 떠났고, 그 결과가 지지율 추락과 선거 참패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견을 달기 힘들 정도로 명확한 설명이다.
문제는 남은 1년이다.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문 대통령 자신은 물론 그가 속한 더불어민주당, 그리고 대한민국의 앞날이 걸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통령은 선거 참패 후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국민의 질책을 쓴 약으로 여기고, 국정 전반을 돌아보며 부족한 것은 채우고 고치겠다”고 말했다. 국민이 듣고 싶어했던 말이다.
그렇다면 무엇부터 채우고 고쳐야 할까. 두 가지만 당부하고 싶다. 우선 ‘소통’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소통 대통령’을 자임하며 현안에 대한 직접 브리핑, 야당과의 정례적인 만남 등을 약속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남은 것은 ‘유체이탈 화법의 장인(匠人)’ ‘렉카 대통령’(유리한 일만 급히 챙기고 불리할 때는 숨는다는 의미) 등 명예롭지 못한 별명뿐이다. 기자회견과 여야 영수회담은 ‘불통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던 전직 대통령보다도 적었다. 또 조국 사태, 울산선거 조작 의혹, 탈(脫)원전 불법 수사 등 민감한 현안이 터질 때마다 뒤로 숨었고, 국론은 분열됐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0명의 대통령은 예외없이 불행한 퇴임을 맞았다. 수감 중인 두 전직 대통령을 포함해 대부분 말로가 험했다. 문 대통령은 작년 1월 기자회견 때 “퇴임 후 잊혀진 대통령으로 살고 싶다”고 했다. 아직 기회는 남아 있다. 4년간 정파와 이념에 치우쳐 듣지 못했던 다수의 목소리를 살피고, 정책을 하나씩 고쳐나가면 된다. 대통령이 마무리를 잘하고 바람대로 조용한 여생을 보낼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ps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