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형식만 업계의 ‘자발적 결정’이었을 뿐 실제론 금융당국의 ‘무언의 압력’이 작용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월 (소급적용과 관련) 금융회사의 자발적 협조를 유도하겠다고 했다. 2018년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24.0%로 내려갔을 때도 카드사는 ‘자발적으로’ 소급적용에 동참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주요 카드사들 가운데 카드론 이용 회원 중 연 20% 초과 금리를 적용받은 회원 비율은 최대 20%대에 달했다. 삼성카드가 22.5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현대카드(12.41%) 롯데카드(6.93%) KB국민카드(4.53%) 등 순서였다. 7개 전업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이용자 중 연 20% 초과 금리를 적용받은 비율은 20~50%대였다. 캐피털사 중 연 20% 초과 신용대출을 받은 회원 비율은 회사마다 제각각이었지만 가장 높은 곳은 18%(메리츠캐피탈)에 달했다.
해당 금리 구간의 기존 차주는 숨통이 트이게 됐지만, 카드·캐피털사의 수익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신용평가가 지난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카드사는 최고금리 인하로 인해 351억원의 이자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소급적용까지 더해질 경우 손실폭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카드업계는 지금의 수수료도 사실상 ‘역마진’ 수준이라며, 더 이상 인하 여력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가맹점 수수료율은 최대 2.3%지만, 연 매출 30억원 미만 중소 가맹점(전체 가맹점의 96%)에 대해선 0.8~1.6%의 우대 수수료가 적용된다. 영세 상인을 보호한다는 취지지만, 마케팅 비용 등 원가를 감안할 때 1%대 수수료로는 이익을 낼 수 없다는 것이 카드업계 주장이다.
업계는 내년 대통령 선거 등을 감안할 때 정치권이 자영업자 등의 표를 얻기 위해 수수료 인하를 강하게 압박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인혁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