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환경단체들이 벌채에 대해 지적하자 오해라며 선을 그은 것이다.
산림청은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체 산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경제림에서만 벌채를 진행할 뿐”이라고 밝혔다.
산림청은 “백두대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국립공원 등 보전 가치가 높은 산림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보호할 계획”이라며 “나무를 수확하고 심는 정책은 경제림에서 집중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큰 나무 한 그루를 수확한 자리에 어린나무 열 그루를 심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계획한 물량의 나무를 심기 위해 벌채하는 나무는 조림물량의 10% 미만”이라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산림바이오매스가 친환경에너지가 아니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산림청은 “미이용 바이오매스 운송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은 사실이나 수입산 팰릿을 국내산으로 대체하면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며 “미이용 바이오매스 수집은 산불 확산 등 산림재해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9월까지 산림 부문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토론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경청할 계획이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