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은 1520가구로 2월(1597가구)과 비교해 4.8% 줄었다. 서울이 82가구, 인천이 130가구로 나타났다. 경기는 1308가구였다. 지방은 1만3750가구로 2월(1만4189가구)에 비해 3.1% 감소했다. 지방 중에선 경북이 2488가구로 가장 많았다.
건물이 완공되고 나서도 비어 있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9965가구로 조사됐다. 2월(1만779가구) 대비 7.6% 줄었다.
전용면적 85㎡ 초과 미분양 주택은 2월에 비해 4.1% 줄어든 560가구, 전용 85㎡ 이하는 3.2% 감소한 1만4710가구를 기록했다. 신규 주택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아 그동안 외면받았던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소진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4만5354가구로 작년 3월(3만3648가구)에 비해 34.8% 증가했다. 서울은 6691가구로 작년 동월 대비 44.9% 늘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4677가구였고, 아파트 외 주택은 1만677가구였다.
지난달 전국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3만9328가구로 작년 같은 달(1만2252가구)에 비해 221% 급증했다. 수도권은 1만2218가구로 54.7% 늘었고, 지방은 2만7100가구로 522.5% 불어났다. 일반분양·임대주택·조합원분 물량이 고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정진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