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경제성장 실적이 좋았다고 합니다. 1분기라는 표현은 한 해의 첫 3개월을 말합니다. 1년을 3개월씩 묶은 게 분기입니다. 1년에 네 분기가 있는 거죠. 국내총생산(GDP)이라는 개념은 1년 동안 국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 총액을 말합니다. 외국인, 한국인 구분 없이 한국에서 생산된 부가가치 총액입니다. 1분기 GDP는 470조8467억원입니다. 이것은 2020년 4분기보다 1.6%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경제성장률을 계산하고 발표하는 한국은행은 ‘깜짝 성장’이라고 표현했네요. 이 같은 실적은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이전인 2019년 4분기(468조8143억원)보다 많습니다. 좋은 징후입니다.
미국의 대표적 금융기업 JP모간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6%로 높게 잡았다는 표현이 있군요. 다른 국제기관들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으로 불리는 IMF(International Moneytary Fund)는 당초 3.1%보다 높은 3.6%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즉 OECD는 2.8%에서 3.3%로 높여 잡았습니다.
그러나 경제 전망은 잘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경제 예측이 잘 맞지 않는 이유는 언제 어디서 ‘검은 백조(블랙스완)’가 날아들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 많은 국제금융기관이 세계 경제를 낙관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질지 몰랐죠. 모든 예측과 전망은 맞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경제성장을 이끄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늘 것이라고 하니 숨통이 트일 모양입니다.
한국은행은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통화정책을 바꿀 겁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내리고 돈을 많이 풀었지만, 경제가 급속도로 호전되면 기준금리를 올리고 풀린 돈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한국은행은 금리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해 화폐 유통량을 조절합니다. 전통적인 역할이에요. 일각에서는 경제가 조금 호전된다고 정책을 바꾸면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운용의 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