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251656.1.jpg)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인 초선의 이용빈 의원(사진)은 4일 아스트라제네카(AZ)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뇌출혈 의심 증상을 보여 수술을 받은 50대 여성 경찰과 관련한 질문을 받자 "소화제를 먹어도 부작용 때문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의사 출신인 이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코로나19 관련 백신 점검 회의 브리핑 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을 겪는 여성 경찰관 가족의 내용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왔다"는 취지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대체로 의약품은 심각한 부작용이 늘 있어왔다. 규모로 (접종을) 진행하다 보니 희귀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며 "그것을 백신 불안으로 끌고 가는 것은 집단면역을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위험한 언론의 태도"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이 의원의 발언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경계해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그러나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소화제의 극단적 부작용을 코로나19 백신과 비교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는 부분.
이 의원은 "(백신 부작용은) 자동차 사고보다 훨씬 낮은 확률로 일어나는 일"이라며 "우리가 자동차 사고에 대비해 차를 안 타지는 않는다. 백신이 주는 이득이 훨씬 크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격려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ZN.25731782.1.jpg)
코로나19 백신 부족 현상에 대해서는 '착시'라고 했다. 그는 "집단면역 계획에 맞춰 차분하게 (접종이) 진행되는데 2차 접종을 해야하는 분들도 일부 있어서 1차 접종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급에 따라 접종 속도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오는 11월 이전에 충분히 접종계획을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 3일 'AZ백신 접종 후 의식불명 상태이신 여자경찰관의 자녀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온 바 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