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의 ‘알리페이’는 전 세계 10억 명이 사용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다. 암호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 특허도 세계 1위다. 전자결제를 넘어 예금 대출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 위안’을 기축통화로 키워 미국의 통화 패권에 맞서겠다는 중국 정부가 금융 분야 영향력이 커진 알리바바 길들이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광풍이 4년 만에 다시 불고 있다. 2017년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얘기가 나온다. 글로벌 투자은행의 비트코인 투자상품 출시, 기업들의 암호화폐 매입, 미국 최대 암호화폐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증시 상장 등 암호화폐의 제도권 진입이 속속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정부가 사실상 손놓고 있는 사이 암호화폐거래소가 100여 개 난립할 정도로 몸집이 커졌지만, 관리감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암호화폐에 대한 개념 정의조차 제대로 안 돼 있고, 정부 관료들의 시각은 2017년에 머물러 있다. 거친 언어로 계도하고 타이르듯이 “위험하니 피하라. 정부는 책임 안 진다”는 말뿐이다.
그간 정부가 암호화폐와 관련해 만든 법은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과 소득세법 정도다. 암호화폐 사업자에 자금세탁 방지 의무를 부과하고, 암호화폐 거래 차익에 과세하는 내용이다. 암호화폐 발행과 거래, 투자자 보호 등 산업에 필요한 기본 규정은 여전히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우려되는 것은 규제 일변도의 암호화폐 정책이 블록체인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산업 각 분야에 접목되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의 부정적 측면이 부각되면서 생태계를 함께 형성해야 할 블록체인 분야 성장도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규제 기관의 목소리만 들리고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할 부처는 존재감이 없다.
암호화폐 거래를 위험한 도박이라고 몰아세운다고 해결책이 생기지는 않는다. 규제를 할 거면 근거 규정을 만들어 제대로 해야 한다. 암호화폐 제도화와 함께 블록체인 등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대책도 함께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