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268144.1.jpg)
지성배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사진)은 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벤처붐이 지속 가능하려면 투자가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지 회장은 지난 2월 제14대 VC협회장으로 취임했다. 삼일회계법인과 CKD창업투자를 거쳐 국내 최대 VC 중 하나인 IMM인베스트먼트를 이끌고 있는 벤처투자 전문가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쿠팡, 우아한형제들, 크래프톤 등 다양한 기업에 투자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 메이커로 불린다.
지 회장은 이를 위해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봤다. 조건부 지분전환계약(컨버터블 노트)이나 벤처 대출(venture debt) 같은 제도를 들여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컨버터블 노트는 우선 기업에 투자를 집행한 뒤 향후 성과가 나오면 전환가액이 정해지는 일종의 ‘오픈형 전환사채’다. 벤처 대출은 금융권이 벤처기업에 돈을 빌려준 뒤 일정 수준의 신주인수권(워런트)을 받는 제도다. 지 회장은 “두 제도 모두 미국에서는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며 “지난해 제정된 벤처투자촉진법에 컨버터블 노트와 비슷한 조건부 지분인수계약(SAFE) 제도가 반영된 만큼 나머지 제도들도 이른 시일 내에 도입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 회장은 쿠팡의 사례를 들며 “그동안 저평가됐던 국내 기업들의 가치가 제자리로 돌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당장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이라도 ‘확장성’을 기반으로 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면 높은 기업가치가 매겨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봤다. 그는 “쿠팡의 높은 몸값에는 마치 ‘콜럼버스의 달걀’처럼 그동안 생각지 못했던 다양한 사업 모델이 플랫폼을 통해서 발휘될 수 있다는 일종의 희망이 반영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간 자본의 확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동안 국내 유니콘 기업에는 해외 VC 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고 지적했다. 지 회장은 “유동성 확대로 이제 순수 국내 자본으로도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기반이 마련됐다”며 “다만 아직 많이 부족한 수준인 만큼 민간 자본이 더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우/황정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