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275928.1.jpg)
이에 대한 교원단체의 반발은 거세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전국 중등교원 921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관련 현장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 교원의 94.88%가 이 방안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교육부의 ‘정시 확대’ 기조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고교학점제를 시행해도 수능 위주의 과목 쏠림 현상이 생기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울 16개 대학의 2023학년도 정시 비중은 40.6%(2만1011명)에 달한다. 2022학년도 대비 약 3%포인트(1715명) 높은 수치다.
교육계는 “고교학점제가 이 같은 정시 확대 기조와 역행한다”고 지적한다. 김형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정책기획국장은 “고교학점제에서 강조하는 것은 가고 싶은 진로에 따라 여러 과목을 들으라는 것인데, 대입제도에서 수능을 강조하게 되면 학생들은 수능과 관계된 과목만 듣게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남영 한국경제신문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