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과 통화정책은 경기 회복과 높은 상관성이 있다. 물가 압력과 백신 수급 지연에 따른 경기 둔화, 즉 경기역행적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가능성으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신흥국의 백신 접종률은 선진국보다 크게 낮으며, 중앙은행 통화정책도 물가 및 대외 변수에 따른 영향 탓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선진국 vs 신흥국’ 구도를 각각 대표하는 미국과 중국의 증시가 상반된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1분기 미국 S&P500지수가 5.8% 상승하는 동안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9% 떨어졌다. 중국 정부는 대내적으로 유동성 공급 확대가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고, 반독점법에 따른 기술기업 제재 등으로 인해 투자 모멘텀이 회복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대외적으로도 신장위구르·홍콩·대만 등 중국의 ‘레드 라인’을 두고 미국과 정치적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을 교역 관점에서만 바라봤다면, 코로나19 이후 외교·안보 및 지정학적으로 판단해야 할 변수가 많아지고 있다.
주요 신흥국의 이동량 데이터를 보면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더라도 전반적인 회복세가 뚜렷하다. 방역이 무뎌진 것도 있지만 신흥국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봉쇄 조치를 최대한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백신 민족주의가 신흥국의 집단면역을 지연시킬수록 투자심리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미국 경제활동 가속화는 역설적으로 중앙은행(Fed)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우려를 환기시킬 수 있다. 주춤하던 달러화의 강세도 신흥국에는 나쁜 소식이다.
결과적으로 단기 성과를 추구하는 투자자는 선진국 투자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진국 경기 회복의 수혜를 보게 될 신흥국의 반등을 기대하는 투자자라면 연금 등 절세 계좌를 활용해 아시아 또는 신흥국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창민 < KB증권 WM스타자문단 연구위원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