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확산) 이후 청년실업이 심각하고, 업종 및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커지고 있다”며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들은 임금을 인상하기보다 고용을 늘리거나 중소 협력사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데 재원을 써달라”고 권고했다.
이미 임금 수준이 높은 대기업 근로자의 기본급이 큰 폭으로 오르면 중소기업 근로자와 취약계층 등에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뒀다면 한국의 연공급 임금체계(근속연수를 기반으로 한 임금체계) 특성 등을 고려해 기본급 인상보다는 일시적 성과급 형태로 보상하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경총은 한국 기업의 임금체계를 연공 중심에서 일의 가치와 개인의 성과, 기업 실적 등을 반영한 직무 및 성과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공 중심 임금체계는 생산성과 연계하기 힘들고 획일적으로 적용돼 근로자에게 동기 부여를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공정한 임금 배분을 가로막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코로나19와 같은 변수로 불확실성이 커질 때 기업의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게 경총의 설명이다.
경총은 구체적으로 자동호봉승급제를 폐지하고, 절감한 인건비를 성과에 따라 근로자에게 나눠주는 방식을 제안했다. 또 직무 가치가 높고 어려운 일을 하는 직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고, 기업의 실적과 개인의 성과를 임금 수준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국내 기업들이 보다 합리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병욱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