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항구도시 노퍽 지역의 주유소 60%에 기름이 없다.”(패트릭 한 가스버디 애널리스트)
미국 동남부지역에서 ‘주유 대란’이 벌어졌다. 이 지역 유류 수송의 45%를 담당하는 콜로니얼파이프라인이 사이버테러로 공급을 중단한 지 닷새를 넘기면서다. 휘발유값은 심리적 마지노선인 갤런당 3달러를 넘었다. 주유소마다 드럼통, 비닐봉지에 휘발유 등을 ‘패닉바잉’하는 사람들에 대한 목격담이 이어졌다.
미 정부는 워싱턴DC와 12개 주의 환경 규제를 유예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AA.26329854.1.jpg)
동남부지역 주유소에서는 기름 탱크가 바닥을 드러냈다. 조지아 주유소의 10.4%, 버지니아 10.2%에서 기름 재고가 고갈됐다. 이들 지역에서만 1800곳의 주유소에서 기름 부족을 호소했다.
워싱턴DC 인근 지역도 상황이 심각하다. 버지니아와 메릴랜드 일부 지역에서는 운전자들이 주유소에서 기름을 채우기 위해 5시간 넘게 기다렸다. 휘발유가 떨어지기 전 주입을 서두르면서 기름통의 4분의 3을 채운 차량도 추가 주유를 위해 대기했다.
기름 고갈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사재기를 하면서 유류 부족 현상은 더 심해졌다. 미국 전역에서 휘발유 등의 수요가 20% 넘게 급증했다. 남부지역 기름이 고갈되자 차량을 가진 운전자가 북쪽으로 몰리면서 패닉바잉 행렬이 미국 전역으로 확산됐다. 공급이 줄어든 데다 수요까지 늘면서 휘발유값은 7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미 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12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갤런당 3.008달러다. 한 주 전보다 2.5% 급등했다. 2014년 10월 갤런당 3달러를 넘은 뒤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달 말 메모리얼데이 연휴를 맞아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되살아나면 차량 연료 품귀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지아·버지니아·노스캐롤라이나 주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제니퍼 그랜홀름 미 에너지부 장관은 “휘발유 사재기를 자제해 달라”고 촉구했다.
미국 정부는 콜로니얼의 송유관 가동 재개 여부를 조만간 결정할 계획이다. 관건은 정상화 시기다. 휴스턴에 있는 휘발유를 미 동부지역으로 보내기까지 15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예상했다. 이보다 무거운 디젤은 19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 최대 송유관 운영사인 콜로니얼은 멕시코만의 미국 정유시설에서 생산한 각종 석유제품을 미 남동부에 전달한다. 매일 휘발유와 디젤 항공유 등을 250만 배럴가량 운송한다. 콜로니얼은 지난 7일 다크사이드의 랜섬웨어 공격으로 유류 수송을 멈췄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