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444004.1.jpg)
전세계 12개국에 자동차부품을 수출하는 연 매출 500억원 규모인 경남 창원 태림산업은 이번달 독일 폭스바겐 차량 100만대에 들어갈 자동차 조향장치 부품을 수주했다. 글로벌 발주처로부터 대규모 수주에 성공한 비결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덕분이었다. 센터내 슈퍼컴퓨터를 통해 가상 3D 시뮬레이션으로 제품 개발의 속도와 성과를 대폭 끌어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산단공이 한국전기연구원의 도움으로 운영하는 이 센터는 중소기업을 위해 3D 시뮬레이션 장비와 전문 인력을 제공하고 있다.
오경진 태림산업 부사장은 “가상 실험은 실제 실험에 근접한 결과치를 냈으며 개발할 부품의 물성과 내구성 등을 테스트할 때 유용하게 쓰였다”고 말했다. 그는 “자체 3D 시뮬레이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그럴 여력이 없다”며 “중소 제조업체에 반드시 필요한 장비”라고 말했다.
대부분 중소기업들은 제조 혁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장비가 없고 연구개발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3D 시뮬레이션 없이 제품을 제작하다 보니 제품 개발시 막대한 실패 비용을 부담해야했다. 하지만 이 장비로 현실과 거의 비슷한 조건을 컴퓨터를 통해 가상으로 구현하게 됨에 따라 각종 물리 현상에 따른 조건값만 대입하면 다양한 결과치를 비교·분석해 개발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443991.1.jpg)
산단공에 따르면 현재까지 이 센터의 도움을 받은 기업은 40여곳으로 약 84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다. 예컨대 인텍전기전자는 이 센터 덕분에 초고압 가스 차단기 개발을 완료하고 수백억원의 매출 증대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해양플랜트 분야 강재 이송용 리프팅 제품을 만드는 ㈜상영마그네트는 3D 시뮬레이션 지원을 통해 제품의 개발 기간을 대폭 줄였다. ㈜부마CE는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항타기를 국산화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 산단공은 올해 50여개 기업을 지원해 100억원 이상의 지원 효과를 낸다는 목표다. 현재 창원국가산단에 국한된 사업도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산단공에 따르면 현재까지 이 사업으로 기업들은 33건의 기술 애로를 해결했다. 전차(탱크)용 실린더를 만드는 방산업체인 칸워크홀딩스는 이 사업의 지원을 받아 기존 8가지 공정을 3가지 공정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해 생산라인을 개편한 것이다. 생산성은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에어버스의 날개를 만드는 S&K항공도 이 사업의 도움으로 제조 공정에 필요한 노후화된 외국산 장비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443917.1.jpg)
지역 산단별 맞춤형 전략도 추진된다. 경기 반월시화·창원산단에선 제조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제조설비 예지보전 및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혁신데이터센터'가 구축되고 있다. 반월시화 창원 등 4개 산단에선 기존 공동 물류센터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물류비를 절감하는 '스마트물류 플랫폼'도 구축된다. 개별기업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넘어 ‘그린산단’을 조성하기위해 '스마트에너지 플랫폼'과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도 마련된다. 전국 7개 산단에선 스마트제조분야를 위한 고급인력 양성사업도 진행된다. 특히 창원산단은 LG전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이 참여하는 취업연계형 교육과정을 개설했고, 제조혁신 특화 전공을 지역 대학에 신설해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443925.1.jpg)
산업부와 산단공은 올해 산단내 입주기업의 신산업 전환을 촉진하는 '사업다각화 플랫폼 사업'에 역점을 둘 예정이다. 박민원 경남창원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장은 “중국과 유럽 자동차부품업계가 전기차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어 우리도 변화하지 않으면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 돼 온 산단은 국내 제조업 고용의 절반, 생산과 수출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어 변화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김정환 산단공 이사장은 ”제조 경쟁력은 ICT과의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화와 신산업으로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에 달려 있다“며 ”이런 점에서 스마트그린산단은 한국 경제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