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장관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고용정책심의회 및 고용위기대응반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 고용정책 추진 현황과 계획 등을 논의했다. 안 장관은 “우리나라는 K방역의 성과와 신속한 고용안정 지원 노력으로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 비해 고용충격이 비교적 작은 편”이라며 “수출여건 개선, 소비심리 회복과 연동해 3월부터 취업자 수가 증가로 전환되면서 고용충격으로부터 점차 회복하고 있다”고 했다.
안 장관은 고용 회복세에 대해 “코로나19가 재확산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고용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회복 과정에서 업종·연령 등 부문별로 고용회복 속도의 격차가 벌어질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컸던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 청년,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은 개선세가 더딜 것이라는 설명이다.
안 장관은 또 “고용은 경기 후행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경기가 개선되더라도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외환위기 때는 위기 이전 수준의 고용을 회복하는 데 31개월이, 금융위기 때는 16개월이 걸렸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고용 충격 극복을 위한 정책 방향으로는 △포용적 회복 △빠르고 강한 회복 △지속 가능한 회복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6월에 ‘소프트웨어 분야 인력양성 추진계획’을, 7월에는 산업구조 변화 과정에서 피해를 본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해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관련뉴스